아시아나항공과 금호산업, 금호타이어가 사외이사 후보에 산업은행 출신 인사들을 대거 올리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금호아시아나그룹 주요 계열사들은 2015년 말을 끝으로 대부분 워크아웃을 졸업했지만 여전히 산업은행의 주채무계열로 산업은행의 관리를 받고 있다.

  금호아시아나 계열사 사외이사에 산업은행 출신 대거 합류  
▲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산업은행 출신 인사를 사외이사에 앉혀 보호막으로 삼으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과 금호산업, 금호타이어 등 금호아시아나그룹 계열사들은 28일 일제히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신규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 선임 등의 안건을 처리한다.

금호산업은 주총에서 황성호 전 산업은행 본부장을 사외이사로 새로 선임한다. 김왕경 전 산업은행 이사가 사외이사를 맡았왔던 자리다. 황성호 전 본부장은 이와 함께 감사위원으로도 신규 선임된다.

아시아나항공도 주총에서 이성근 전 산은캐피탈 사장이 맡고 있던 사외이사 자리에 한대우 전 산업은행 부행장을 후보로 올렸다.

한대우 전 부행장은 아시아나항공이 자율협약 중이던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산업은행에서 자본시장본부장을 맡았다. 그 뒤 산업은행 상임이사를 거쳐 2013년부터 법무법인 태평양에서 고문으로 재직하고 있다. 태평양은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금호산업을 인수할 당시 법률자문을 맡았다.

금호타이어도 주총에서 임홍용 전 KDB자산운용 사장을 사외이사로 새로 선임한다. 박우양 전 산업은행 이사가 사외이사를 맡고 있던 자리다.

임 전 사장은 산업은행 종합기획부 팀장을 거쳐 KDB자산운용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다. 2013년부터 동국제강 경영자문 상근고문을 지냈고 2014년부터 KB캐피탈 사외이사으로 재직했다.

산업은행 등 금융권 출신 사외이사들은 2009년 말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워크아웃에 들어간 뒤부터 연이어 선임됐다. 산업은행 출신 사외이사 후보들이 기존 산업은행 출신이 맡던 자리를 이어받으면서 ‘돌려막기’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2014년 말 자율협약을 졸업했지만 여전히 채권단에게 5천억 원 이상의 빚을 지고 있다. 금호타이어도 2014년 말 워크아웃을 졸업했지만 여전히 채권단이 지분 42.1%를 보유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