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겨냥한 네거티브 공격을 멈출까?

9일 더불어민주당 안팎의 말을 종합해보면 이 지사와 이 전 대표 모두 네거티브 중단에 뜻을 모았지만 신경전은 이어질 것이라는 시선이 많다.
 
이낙연 네거티브 대신 검증 앞으로, 이재명과 격차 좁힐 수단 마땅찮아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 전 대표는 이 지사와 다시 벌어지고 있는 지지율 격차를 좁히기 위해서 어떤 방식으로든 공격에 나서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에서 “1등을 따라잡아야 하는 후보가 네거티브라는 방법을 아예 포기해서야 어떻게 격차를 좁히겠냐”며 “인신비방성 네거티브는 서로 못하겠지만 다른 형태의 차별화 전략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이 전 대표는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에서 이 지사의 경기도지사직 유지문제를 거듭 부각했다. 인신비방성 비판은 아니지만 이 지사를 겨냥한 공세의 고삐는 늦추지 않고 있는 것이다.

말도 거칠어졌다. 

이 전 대표는 이재명 캠프를 겨냥해 '경기도청캠프'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도정을 뛰어넘는 개인 홍보에 국민의 세금이 들어가고 있다”며 “지사직 사퇴 자체가 개인의 양심의 문제”라고 말했다.
 
앞서 이낙연 캠프는 8일 이 지사의 네거티브 중단 발표를 환영하면서도 검증은 이어갈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낙연 캠프 총괄본부장인 박광온 의원은 8일 일요 정례브리핑에서 “경선은 덕담하는 자리가 아니다. 없는 말을 지어내고 흑색선전을 하는 네거티브는 해서는 안 된다”면서도 “자질검증과 정책검증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했다.

사실 네거티브와 검증을 구분하는 판단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그동안 벌어진 네거티브 공방인 ‘바지 발언’과 ‘노무현 탄핵 태도’ 등도 도덕성 검증이나 자질 검증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됐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 김두관 의원 등 다른 경선 후보들도 검증이 필요하다는 이유를 내세우며 네거티브 공방이 일정 부분 불가피하다고 봤다.

정 전 총리는 8일 페이스북에서 “네거티브와 검증의 명확한 판단 근거와 경계가 무엇이냐”며 “네거티브는 지양돼야 하지만 엄격한 도덕성 검증과 지도자의 자질을 검증하는 일을 네거티브라고 규정하는 것은 언어도단이다. 철저하고 확실한 검증만이 본선 승리의 밑바탕이 된다”고 적었다.

김 의원은 7월29일 YTN 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자기들 입장에서 보면 상대가 네거티브고 상대방 입장에서 보면 저쪽이 네거티브를 한 것인데 네거티브인지 검증인지 참 애매모호하다”고 말했다. 방송 전날(7월28일) 민주당이 원팀 협약식을 진행한 뒤 불과 몇 시간이 지나지 않아 진행된 1차 TV토론에서 신경전이 펼쳐진 것을 두고 한 말이다.

미국의 대통령 선거에서는 네거티브를 하나의 정치기술로 여긴다. 선거에서 후보 검증이 필요한 만큼 네거티브 공방에도 긍정적 측면이 없지 않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7월31일 보도된 시사저널 인터뷰에서 “네거티브는 당연히 있을 수밖에 없다. 미국 정치학 교과서에도 나오는 선거전략이며 선거의 흥행을 낳는 등 긍정적 측면도 있다”며 “네거티브와 검증의 차이를 구분하고 규정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확인이 안 된 사실을 들고 공격하는 건 허위사실 유포지만 네거티브 가운데 사실에 기반한 것도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야당인 국민의힘에서도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X파일을 비롯한 각종 발언 등을 둘러싸고 연일 공격을 받고 있다. 당내 추격자들이 모두 1위를 때리면서 지지율을 뺏어오기 위해 분주하다.

특히 보수야권에서 윤 전 총장 다음으로 지지율이 높은 홍준표 의원은 연일 페이스북에서 “보수 우파를 궤멸시킨 주범”, “흘러온 뜨내기”, “발언마다 진의가 왜곡됐다고 기자들 핑계나 댄다”면서 윤 전 총장을 저격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 전 대표가 네거티브 중단 방침을 밝힌 만큼 10월 중순 대선후보가 최종 결정되기 전까지 어떤 카드로 이 지사를 추격할지 주목된다. 

일단은 민주당 자체의 본선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라도 부동산 문제와 청년 실업, 코로나19 피해지원 등 여러 정책현안에 집중할 가능성은 높다.

하지만 결국은 검증을 명분으로 삼아 신상공격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민주당 주변에서 벌써부터 흘러 나온다. 다만 스스로 공언한 게 있는 만큼 조금 더 확실한 소재를 가지고 공격에 나설 가능성은 더 높아졌다. 어슬픈 공격은 역풍이 불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전 대표 측 관계자는 “네거티브 전략이 반드시 2위 후보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남은 기간 정책 경쟁에 초점을 맞춰 공정한 선거를 치를 것이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성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