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협력업체 노동조합이 서울시의 행정명령을 비판하며 백화점의 영업시간 단축조치를 요구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백화점면세점 판매서비스노조는 19일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시의 코로나19 선제검사 행정명령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백화점 판매서비스노조 "코로나19 검사 위해 백화점 임시휴업해야"

▲ 백화점면세점판 매서비스노조 조합원이 앞서 16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백화점 본점 앞에서 백화점·면세점 노동자들에게 적용되는 일관적 방역·영업지침 마련을 촉구하는 1인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조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백화점의 휴업이 보장되지 않는 서울시의 행정명령은 협력업체 노동자들에게 방역책임을 떠넘기는 행태로 보인다"며 "선제검사가 실제 방역에 도움이 되려면 종사자들이 짧은 기간에 빠짐없이 모두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노조는 백화점이 최소 2일 이상 임시휴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서울시는 백화점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잇따라 발생하자 16일부터 서울 시내 백화점 32곳의 노동자 12만8천여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선제검사 행정명령을 내렸다.

노조에 따르면 대부분 협력업체 소속인 백화점 노동자들은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연차와 개인 휴무일을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백화점 자체 격리방침에 따라 7일 이상 연차를 소진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동료가 출근을 못하게 되면 매장에 남은 노동자들은 더 많은 인원을 응대하므로 더 많은 감염위험에 노출된다"고 말했다.

또 집단 감염이 속출하고 있는데도 일부 백화점들은 오히려 연장 영업을 하고 있다며 행정명령을 통해 선제검사를 위한 휴무일을 제공하고 영업시간을 단축해줄 것을 요구했다.

노조는 "코로나 4차 대유행이 멈출 때까지 영업시간을 단축하고 방문객을 제한해야 한다"며 "전국 백화점이 현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정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