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프레시웨이가 국내 외식산업의 기업화(프랜차이즈화) 추세에 힘입어 식자재유통 시장에서 점유율을 크게 늘릴 것으로 전망됐다.
심은주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4일 “국내 외식산업에서 프랜차이즈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14%에서 지난해 21%까지 성장했다”며 “CJ프레시웨이는 프렌차이즈시장에서 독보적 인지도를 바탕으로 선점효과를 누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 강신호 CJ프레시웨이 대표. |
CJ프레시웨이는 지난해 4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5465억 원, 영업이익 60억 원을 냈다. 2014년 4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3.9%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1.6% 감소했다.
심 연구원은 “식자재유통 자회사인 프레시원의 내실화를 추진하면서 사업구조정 비용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며 “그렇지만 매출은 두자리 수로 성장하고 있고 매출총이익률도 상승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해 4분기에 매출총이익률 13.5%를 기록해 2014년 4분기와 비교해 1.2%포인트 상승했다.
심 연구원은 “매출총이익률은 올해 규모의 경제 실현과 프레시원 구조조정 효과로 더 좋아질 것”이라며 “CJ프레시웨이는 올해 영업이익 429억 원을 거둬 지난해보다 36.2%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CJ프레시웨이는 외식업 거래처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CJ프레시웨이는 2013년과 비교해 프랜차이즈 거래처를 187%, 일반레스토랑 거래처를 178%까지 늘렸다.
국내 식자재유통 시장은 2015년 초 기준으로 105조 원 규모로 추정되는데 복잡한 유통구조 탓에 아직 두각을 보이는 절대강자는 없다.
CJ프레시웨이는 CJ그룹 계열사와 협력으로 시장점유율 2% 수준을 유지하며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CJ프레시웨이를 비롯해 신세계푸드와 현대그린푸드, 대상베스트코 등 대기업 계열이 5% 수준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