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이 코로나19 백신의 허브국가가 될 수 있도록 정부지원을 확대한다.

홍 직무대행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상황점검회의에서 “국내 백신 개발을 독려하고 백신 허브국가 기반을 구축하는 데 재정지원은 필수적이다”며 “2022년 관련 예산 프로젝트 발굴 및 소요 반영 등을 위해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몇몇 관계 부처가 실무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남기 "국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재정지원은 필수, 실무TF 가동"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


그는 “우리는 백신 개발 역량과 함께 세계 2위의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이 있는 국가다”며 “최근 코로나19 백신의 지식재산권 면제를 미국이 지지하며 세계무역기구(WTO) 등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가 진전되는 것이 우리에게 긍정적이다”고 말했다.

홍 총리대행은 국내 백신 개발상황에 “2개 기업이 2021년 하반기에 임상 3상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하면서 해외처럼 비교임상 방식의 지원을 요청했다”며 “이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6월까지 마련해 기업에 맞춤형 지원을 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 상황은 안정적이라고 했다.

그는 “상반기 안으로 당초 목표보다 100만여 명 많은 1300만여 명이 접종을 마치게 될 것이다”며 “정부는 접종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모든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홍 총리대행은 “훗날 설사 코로나19가 토착화되더라도 집단면역은 매우 중요한 목표이자 과제다”며 “정부는 11월로 예정된 집단면역 달성을 하루라도 더 당기기 위해 백신을 빨리 도입하는 등 전력투구하겠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