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이 7년 연속 김해국제공항 이용객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에어부산은 2020년 부산 김해국제공항 이용객 점유율 35.5%로 1위를 지켰다고 8일 밝혔다. 2014년부터 7년 연속 1위를 보였다.
에어부산은 지난해 김해국제공항에서 국내선(221만57명)과 국제선(35만7061명) 승객 256만 여명을 수송했다. 전체 김해국제공항 이용객(723만5652명)의 35.5% 수준이다.
에어부산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전체 승객이 56%, 국제선 승객이 87% 감소했다.
에어부산은 코로나19로 당분간 국제선 운항을 본격적으로 재개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국내선 및 무착륙 비행을 늘려 위기를 극복하기로 했다.
3월28일부터 울산~김포 노선, 울산~제주 노선 운항을 늘려 매일 왕복 3~4회 운항하고 있다.
부산~김포 노선, 김포~제주 노선도 임시 항공편을 추가한다.
또한 4월 안에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무착륙 학습비행’을 새롭게 출시한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
에어부산은 2020년 부산 김해국제공항 이용객 점유율 35.5%로 1위를 지켰다고 8일 밝혔다. 2014년부터 7년 연속 1위를 보였다.

▲ 에어부산 항공기. <에어부산>
에어부산은 지난해 김해국제공항에서 국내선(221만57명)과 국제선(35만7061명) 승객 256만 여명을 수송했다. 전체 김해국제공항 이용객(723만5652명)의 35.5% 수준이다.
에어부산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전체 승객이 56%, 국제선 승객이 87% 감소했다.
에어부산은 코로나19로 당분간 국제선 운항을 본격적으로 재개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국내선 및 무착륙 비행을 늘려 위기를 극복하기로 했다.
3월28일부터 울산~김포 노선, 울산~제주 노선 운항을 늘려 매일 왕복 3~4회 운항하고 있다.
부산~김포 노선, 김포~제주 노선도 임시 항공편을 추가한다.
또한 4월 안에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무착륙 학습비행’을 새롭게 출시한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