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과 대만 TSMC 등 세계적 반도체기업이 일본에 생산공장을 세울 가능성이 낮다고 현지언론이 보도했다.
5일 일본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해외 반도체기업 공장 유치에 관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TSMC가 도쿄 인근에 1억8900만 달러 규모의 연구개발시설을 세우기로 했지만 이는 전체 회사 규모에 비해 작은 규모의 투자로 평가됐다.
닛케이아시아는 “미국, 중국, 한국, 대만의 주요 반도체기업들이 지정학적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일본에 큰 공장을 지을 가능성은 낮다”며 “일본은 아직 경쟁력이 있는 반도체 제조장비와 소재분야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 반도체기업에 비해 일본 기업이 훨씬 적게 투자한다고 봤다.
2017~2020년 일본 반도체기업의 설비투자는 447억 달러 수준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는 단독으로 그 두 배 수준의 투자를 단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장 조사업체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TSMC는 올해 세계 반도체업계 투자의 43%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
5일 일본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해외 반도체기업 공장 유치에 관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에 있는 극자외선(EUV) 전용 생산공장. <삼성전자>
최근 TSMC가 도쿄 인근에 1억8900만 달러 규모의 연구개발시설을 세우기로 했지만 이는 전체 회사 규모에 비해 작은 규모의 투자로 평가됐다.
닛케이아시아는 “미국, 중국, 한국, 대만의 주요 반도체기업들이 지정학적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일본에 큰 공장을 지을 가능성은 낮다”며 “일본은 아직 경쟁력이 있는 반도체 제조장비와 소재분야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 반도체기업에 비해 일본 기업이 훨씬 적게 투자한다고 봤다.
2017~2020년 일본 반도체기업의 설비투자는 447억 달러 수준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는 단독으로 그 두 배 수준의 투자를 단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장 조사업체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TSMC는 올해 세계 반도체업계 투자의 43%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