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조선사들이 올해 1분기 지난해보다 10배 가까운 수주를 따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영국 조선·해운 시황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세계에서 총 1024만CGT(표준선 환산톤수·323척)가 발주된 가운데 한국이 532만CGT(126척)를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지난해 1분기 세계 발주량 397만CGT 가운데 55만CGT를 수주하는데 그쳤다. 1년 전과 비교해 수주량이 10배 가까이 급증한 셈이다.
한국 조선사의 수주 점유율도 지난해 1분기 14%에서 올해 1분기 52%까지 올랐다.
세계 1위 조선업체인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1분기 모두 68척, 55억 달러(해양플랜트 제외)를 수주해 연간 수주목표 149억 달러의 37%를 달성했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4월 대만 해운선사 에버그린으로부터 초대형 컨테이너선박 20척을 한번에 수주하는 등 현재까지 모두 42척, 51억 달러를 수주했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수주목표를 78억 달러로 잡았는데 65%를 채운 셈이다.
대우조선해양도 올해 4월 초 수주한 LNG 이중연료 추진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10척(1조1천억 원)을 포함해 현재까지 모두 19척(17억9천만 달러)을 수주해 올해 수주목표 77억 달러의 23%를 달성했다.
조선업계는 해상물동량의 회복과 운임 인상 등으로 글로벌 발주환경이 호전된 데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에 따라 친환경 선박의 발주가 증가한 것이 한국 조선사에 호재로 작용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
4일 영국 조선·해운 시황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세계에서 총 1024만CGT(표준선 환산톤수·323척)가 발주된 가운데 한국이 532만CGT(126척)를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 4일 영국 조선·해운 시황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 세계에서 총 1024만CGT(표준선 환산톤수·323척)가 발주된 가운데 한국이 532만CGT(126척)를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한국은 지난해 1분기 세계 발주량 397만CGT 가운데 55만CGT를 수주하는데 그쳤다. 1년 전과 비교해 수주량이 10배 가까이 급증한 셈이다.
한국 조선사의 수주 점유율도 지난해 1분기 14%에서 올해 1분기 52%까지 올랐다.
세계 1위 조선업체인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1분기 모두 68척, 55억 달러(해양플랜트 제외)를 수주해 연간 수주목표 149억 달러의 37%를 달성했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4월 대만 해운선사 에버그린으로부터 초대형 컨테이너선박 20척을 한번에 수주하는 등 현재까지 모두 42척, 51억 달러를 수주했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수주목표를 78억 달러로 잡았는데 65%를 채운 셈이다.
대우조선해양도 올해 4월 초 수주한 LNG 이중연료 추진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10척(1조1천억 원)을 포함해 현재까지 모두 19척(17억9천만 달러)을 수주해 올해 수주목표 77억 달러의 23%를 달성했다.
조선업계는 해상물동량의 회복과 운임 인상 등으로 글로벌 발주환경이 호전된 데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에 따라 친환경 선박의 발주가 증가한 것이 한국 조선사에 호재로 작용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