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탄소중립 전담조직을 만들었다.

국토부는 '국토교통 탄소중립 민관합동 전담조직(TF)'을 구성하고 1차 회의를 열었다고 8일 밝혔다.
 
국토부,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실행 위해 민관합동 전담조직 구성

▲ 국토교통부 로고.


이번 전담조직 구성과 1차 회의는 지난해 12월7일 내놓은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의 후속조치로 올해 말에 발표 예정인 '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을 목적으로 진행됐다.

국토부는 실현 가능성이 높은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기 위해 민관합동 전담조직을 3단계(TF-분과 2개(국토, 교통)-실무 작업반)으로 구축했다.

국토교통 탄소중립 민관합동 전담조직은 국토부 제1차관과 담당 실국장, 민간 관련 연구기관과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됐다.

국토분과와 교통분과는 담당국장과 민간전문가로, 탄소중립 실무 작업반은 국토부 실무담당자로 이뤄졌다.

8일 열린 1차 회의에서는 전문분야별로 구체적 추진전략과 해외사례 등이 소개됐다.

건물부문에서는 국토와 도시계획부터 탄소중립 요소를 반영하고 민간 건축물의 에너지성능 개선을 자발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수송부문에서는 전기·수소차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체계 구축과 물류, 인프라 전반에 걸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다뤄졌다.

윤성원 국토교통부 제1차관은 "국토부가 주관하는 건물, 수송부문은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33%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혁신적 감축수단 발굴이 필요하다"며 "건물부터 국토 전체, 상용차부터 대중교통까지 탄소중립 정신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전담조직이 추진과제를 적극적으로 제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