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2021년 주요 해외 시장에서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김민선 키움증권 연구원은 8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목표주가를 4만4천 원에서 6만 원으로 높여잡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5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가는 4만5050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김 연구원은 “최근 미국 반덤핑 관세 부과 등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주요 시장에서 효과적 판매전략에 기반한 매출 호조세가 올해에도 이어질 것”이라며 “중국,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10% 이상의 매출 증가가 전망되며 고인치 타이어 비중도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전기차시장에서도 빠른 대응을 통해 존재감을 높여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주요 전기차업체 및 폴크스바겐 등 선도업체 주요 모델용 제품 공급을 기반으로 전동화 추세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며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신차용 타이어(OE타이어) 판매 가운데 전기차 비중은 2020년 3%에서 2021년 6%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2021년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7조1510억 원, 영업이익 7789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보다 매출은 10.7%, 영업이익은 23.9% 늘어나는 것이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2020년 4분기에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낸 것으로 평가됐다.
2020년 4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7677억 원, 영업이익 2276억 원을 냈다. 2019년 4분기보다 매출은 6.2%, 영업이익은 94.2% 늘었다.
김 연구원은 “국내에서는 신차용 타이어와 교체용 타이어(RE) 모두 2019년 4분기보다 판매가 소폭 부진했지만 고인치 타이어 위주로 제품 구성이 개선되면서 경쟁사보다 양호한 실적을 낼 수 있었다”며 “중국에서는 신차용 타이어와 교체용 타이어 모두 양호했으며 유럽, 북미에서도 교체용 타이어의 매출이 눌어났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
2021년 주요 해외 시장에서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 이수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대표이사.
김민선 키움증권 연구원은 8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목표주가를 4만4천 원에서 6만 원으로 높여잡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5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가는 4만5050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김 연구원은 “최근 미국 반덤핑 관세 부과 등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주요 시장에서 효과적 판매전략에 기반한 매출 호조세가 올해에도 이어질 것”이라며 “중국,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10% 이상의 매출 증가가 전망되며 고인치 타이어 비중도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전기차시장에서도 빠른 대응을 통해 존재감을 높여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주요 전기차업체 및 폴크스바겐 등 선도업체 주요 모델용 제품 공급을 기반으로 전동화 추세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며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신차용 타이어(OE타이어) 판매 가운데 전기차 비중은 2020년 3%에서 2021년 6%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2021년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7조1510억 원, 영업이익 7789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보다 매출은 10.7%, 영업이익은 23.9% 늘어나는 것이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2020년 4분기에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낸 것으로 평가됐다.
2020년 4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7677억 원, 영업이익 2276억 원을 냈다. 2019년 4분기보다 매출은 6.2%, 영업이익은 94.2% 늘었다.
김 연구원은 “국내에서는 신차용 타이어와 교체용 타이어(RE) 모두 2019년 4분기보다 판매가 소폭 부진했지만 고인치 타이어 위주로 제품 구성이 개선되면서 경쟁사보다 양호한 실적을 낼 수 있었다”며 “중국에서는 신차용 타이어와 교체용 타이어 모두 양호했으며 유럽, 북미에서도 교체용 타이어의 매출이 눌어났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