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의 온라인 주식거래서비스인 뱅키스의 누적 계좌 수가 400만 개를 넘었다.
한국투자증권은 1월29일 뱅키스 누적 계좌 수가 400만 개를 돌파했다고 3일 밝혔다.
뱅키스는 비대면 또는 시중은행을 통해 개설하는 한국투자증권의 온라인 주식거래서비스다.
뱅키스 계좌는 2019년에 135만 개, 2020년에는 170만 개 등 2년 사이에 모두 330만 개가 늘었다. 하루 평균 4300개가 넘는 계좌가 개설된 것이다.
누적 계좌 수는 2018년 기준 70만 개 정도였던 것과 비교해 470% 이상 증가했다.
특히 2018년 말 전체 고객의 37%에 불과했던 2030세대 고객 비중은 2021년 57%로 높아졌다.
한국투자증권은 카카오뱅크와 협업을 통한 '비대면 주식계좌 개설서비스', 투자자금을 주고받을 수 있는 '온라인 금융상품권', 해외주식 소액거래 서비스인 '미니스탁' 등 혁신금융 서비스를 통해 젊은 투자자들이 유입됐다고 설명했다.
정일문 한국투자증권 대표이사 사장은 "제로금리 기조에 투자처를 잃은 개인투자자가 주식시장으로 대거 유입된 데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급락했던 코스피가 꾸준히 상승해 사상 첫 3000 시대를 여는 등 시장의 영향도 컸다"며 "온라인 플랫폼 회사들과의 제휴를 통해 지속적으로 신규고객을 확보하고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해 디지털금융 라이프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은주성 기자]
한국투자증권은 1월29일 뱅키스 누적 계좌 수가 400만 개를 돌파했다고 3일 밝혔다.

▲ 한국투자증권은 1월29일 뱅키스 누적 계좌 수가 400만 개를 돌파했다고 3일 밝혔다. <한국투자증권>
뱅키스는 비대면 또는 시중은행을 통해 개설하는 한국투자증권의 온라인 주식거래서비스다.
뱅키스 계좌는 2019년에 135만 개, 2020년에는 170만 개 등 2년 사이에 모두 330만 개가 늘었다. 하루 평균 4300개가 넘는 계좌가 개설된 것이다.
누적 계좌 수는 2018년 기준 70만 개 정도였던 것과 비교해 470% 이상 증가했다.
특히 2018년 말 전체 고객의 37%에 불과했던 2030세대 고객 비중은 2021년 57%로 높아졌다.
한국투자증권은 카카오뱅크와 협업을 통한 '비대면 주식계좌 개설서비스', 투자자금을 주고받을 수 있는 '온라인 금융상품권', 해외주식 소액거래 서비스인 '미니스탁' 등 혁신금융 서비스를 통해 젊은 투자자들이 유입됐다고 설명했다.
정일문 한국투자증권 대표이사 사장은 "제로금리 기조에 투자처를 잃은 개인투자자가 주식시장으로 대거 유입된 데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급락했던 코스피가 꾸준히 상승해 사상 첫 3000 시대를 여는 등 시장의 영향도 컸다"며 "온라인 플랫폼 회사들과의 제휴를 통해 지속적으로 신규고객을 확보하고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해 디지털금융 라이프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은주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