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지연된 해외 주요 공사들의 비용을 모두 반영해 올해부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건설 목표주가 상향, "해외공사 비용 선반영해 올해 실적 좋아져"

▲ 윤영준 현대건설 대표이사 사장 내정자.


이동헌 대신증권 연구원은 25일 현대건설 목표주가를 기존 4만5천 원에서 5만6천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22일 현대건설 주가는 4만4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현대건설은 올해 해외부문을 중심으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며 "일회성비용 반영이 완료돼 분기마다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코로나19로 해외 주요 공사들이 지연됨에 따라 비용을 먼저 반영했다. 이 때문에 실적이 감소했지만 비용 반영이 끝난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4조3254억 원, 영업이익 899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2019년 4분기보다 매출은 6%, 영업이익은 47% 줄어든 것이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4분기 두바이에서 500억 원, 카타르에서 200억, 쿠웨이트에서 200억 원 등 모두 1천억 원의 비용을 선반영했다.

지난해 부진한 실적과 비교해 신규수주는 늘었는데 올해도 양호한 수주성과를 달성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는 신규수주 목표를 국내 14조3천억 원, 해외 11조1천억 원 등 25조4천억 원으로 설정했다. 특히 해외에서 카타르 액화천연가스(LNG), 쿠웨이트 항만, 홍콩 병원 건설공사 등 수주 가능성이 높은 프로젝트들이 수주후보군에 포함됐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연결기준으로 신규수주 27조1천억 원을 거뒀다. 2019년보다 12% 증가한 것이다.

현대건설은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8조4410억 원, 영업이익 873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 실적 잠정집계치보다 매출은 9%, 영업이익은 59%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