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삼성SDI는 유럽 전기차배터리시장의 지배력을 높여 중대형전지부문에서 기대 이상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광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2일 삼성SDI 목표주가를 61만 원에서 90만 원으로 높여잡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삼성SDI 주가는 11일 73만 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김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악재성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일시적 노이즈일뿐 중대형전지산업의 중장기 성장가치에 집중해야 한다”며 “전기차시장의 성장은 예상보다 빨라지고 있다”고 바라봤다.
삼성SDI는 2021년에 연결 기준으로 매출 14조3천억 원, 영업이익 1조270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 실적 추정치보다 매출은 22.8%, 영업이익은 68.7% 늘어나는 것이다.
삼성SDI의 유럽 전기차배터리시장 지배력은 계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삼성SDI는 폴크스바겐, BMW 등 주요 유럽 완성차업체들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헝가리 2공장 증설도 진행하고 있다”며 “이번 정기인사를 통해 유추해볼 때 삼성SDI의 유럽시장 전략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며 공격적 시장 지배력 확대를 통해 전기차배터리사업이 기대치를 웃도는 성장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SDI의 2020년 4분기 실적 역시 중대형전지부문이 이끈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중대형전지부문의 매출이 2020년 4분기에 이전 분기보다 49.7% 상승하며 삼성SDI 전체의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며 “2020년 4분기는 전기차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동시에 이익이 발생하는 첫 분기가 될 것”이라고 파악했다.
삼성SDI는 2020년 4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5800억 원, 영업이익 3258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2019년 4분기보다 매출은 27%, 영업이익은 1519.1% 늘어난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
삼성SDI는 유럽 전기차배터리시장의 지배력을 높여 중대형전지부문에서 기대 이상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 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김광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2일 삼성SDI 목표주가를 61만 원에서 90만 원으로 높여잡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삼성SDI 주가는 11일 73만 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김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악재성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일시적 노이즈일뿐 중대형전지산업의 중장기 성장가치에 집중해야 한다”며 “전기차시장의 성장은 예상보다 빨라지고 있다”고 바라봤다.
삼성SDI는 2021년에 연결 기준으로 매출 14조3천억 원, 영업이익 1조270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 실적 추정치보다 매출은 22.8%, 영업이익은 68.7% 늘어나는 것이다.
삼성SDI의 유럽 전기차배터리시장 지배력은 계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삼성SDI는 폴크스바겐, BMW 등 주요 유럽 완성차업체들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헝가리 2공장 증설도 진행하고 있다”며 “이번 정기인사를 통해 유추해볼 때 삼성SDI의 유럽시장 전략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며 공격적 시장 지배력 확대를 통해 전기차배터리사업이 기대치를 웃도는 성장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SDI의 2020년 4분기 실적 역시 중대형전지부문이 이끈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중대형전지부문의 매출이 2020년 4분기에 이전 분기보다 49.7% 상승하며 삼성SDI 전체의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며 “2020년 4분기는 전기차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동시에 이익이 발생하는 첫 분기가 될 것”이라고 파악했다.
삼성SDI는 2020년 4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5800억 원, 영업이익 3258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2019년 4분기보다 매출은 27%, 영업이익은 1519.1% 늘어난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