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이 서울도심 고밀개발 후보지로 꼽은 노후 준공업지역의 개발이 본격화된다.
국토교통부와 서울특별시는 7일부터 '민관합동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 시범사업 후보지' 공모를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은 준공업지역의 노후화한 공장부지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함께 산업시설과 주거시설을 짓는다.
국토부는 이번 공모를 통해 지난해 5월6일 발표한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방안’ 가운데 하나인 민관합동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의 시범사업지 3~4곳을 선정한다.
국토부는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을 통해 산업기능 재생과 도심의 주택공급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공공이 참여한 준공업지역 개발사업의 산업시설 의무비율을 50%에서 40%로 낮추는 내용을 담은 서울시 도시계획조례 개정안이 지난해 12월22일 서울시 의회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준공업지역 개발사업에서 최대 60%에 해당하는 부지에 주택 단지를 조성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공모대상은 부지 내 공장비율이 50%가 넘는 서울의 3천㎡ 이상 공장부지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토지주 등은 2월25일까지 서울시에 공모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먼저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서울주택도시공사는 공모에 참여한 부지의 사업 추진 적절성을 검토한다. 이후 국토부와 서울시는 합동 후보지 선정위원회를 열고 입지 적합성, 시설 노후도, 사업 효과성 등을 종합해 3월 말 최종 시범사업 후보지를 선정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공모가 낙후된 도심 공장지역을 활용해 서울시 주택공급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사업 추진에 적합한 후보지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서울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와 긴밀히 협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
국토교통부와 서울특별시는 7일부터 '민관합동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 시범사업 후보지' 공모를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 국토교통부 로고.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은 준공업지역의 노후화한 공장부지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함께 산업시설과 주거시설을 짓는다.
국토부는 이번 공모를 통해 지난해 5월6일 발표한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방안’ 가운데 하나인 민관합동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의 시범사업지 3~4곳을 선정한다.
국토부는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을 통해 산업기능 재생과 도심의 주택공급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공공이 참여한 준공업지역 개발사업의 산업시설 의무비율을 50%에서 40%로 낮추는 내용을 담은 서울시 도시계획조례 개정안이 지난해 12월22일 서울시 의회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준공업지역 개발사업에서 최대 60%에 해당하는 부지에 주택 단지를 조성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공모대상은 부지 내 공장비율이 50%가 넘는 서울의 3천㎡ 이상 공장부지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토지주 등은 2월25일까지 서울시에 공모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먼저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서울주택도시공사는 공모에 참여한 부지의 사업 추진 적절성을 검토한다. 이후 국토부와 서울시는 합동 후보지 선정위원회를 열고 입지 적합성, 시설 노후도, 사업 효과성 등을 종합해 3월 말 최종 시범사업 후보지를 선정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공모가 낙후된 도심 공장지역을 활용해 서울시 주택공급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사업 추진에 적합한 후보지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서울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와 긴밀히 협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