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내년 공공부문에서 5162억 원 이상의 사회적금융을 공급하기로 했다.

사회적금융은 사회적경제기업과 협동조합 등 경제적 이익보다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곳에 대출, 투자, 보증을 해주는 것을 말한다.
 
금융위, 내년 공공부문에서 사회적금융에 5100억 이상 공급하기로

▲ 금융위원회 로고.


금융위원회는 7일 제3차 사회적금융협의회를 서면회의 방식으로 열고 올해 사회적금융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내년 추진계획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공공부문은 2021년 사회적경제기업 등에 5162억 원 이상을 지원하기로 했다. 2020년 목표보다 20.7% 증가하는 것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800억 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350억 원 등 모두 1700억 원을 대출해준다. 올해 목표보다 40.5% 늘어난다.

내년 보증규모는 올해보다 8.7% 증가한 2500억 원이다. 기술보증기금이 1350억 원, 신용보증기금이 1천억 원, 지역신용보증재단이 150억 원을 담당한다.

내년 투자 규모는 962억 원으로 올해 목표와 비교해 25.8% 증가한다.

금융위는 우수 사회적경제기업을 위한 신용보증기금의 특례보증 한도를 현재 1억~3억 원에서 5억 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우수 협동조합의 보증 한도도 출자금의 3배에서 5배까지로 확대한다.

금융위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공공부문에서 4942억 원을 공급했다. 올해 목표치(4275억 원)를 넘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대출 1350억 원, 보증 2808억 원, 투자 784억 원 등이었다.

9월 말 기준 은행권의 사회적경제기업 대출잔액은 1조649억 원으로 2019년 말(8498억 원) 보다 25.3% 증가했다. 

은행별 대출잔액을 살펴보면 IBK기업은행이 2832억 원, 신한은행이 2133억 원, NH농협은행이 1399억 원으로 전체 실적의 약 60%를 차지했다.

금융위는 “앞으로도 사회적금융협의회를 통해 사회적금융 활성화를 꾸준히 추진하겠다”며 “자금 공급현황을 점검하고 제도 개선이 필요한 사항 등을 협의회 참여기관들과 함께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