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배터리 소송과 관련해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포드와 폴크스바겐을 상대로 진행한 심문 녹취록 제출을 요구했다.
6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미국 국제무역위는 앞서 10월30일 LG화학이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제기한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소송과 관련해 두 회사 변호인이 완성차기업인 포드와 폴크스바겐을 상대로 진행했던 심문 녹취록을 제출해줄 것을 요청했다.
미국 국제무역위는 지난해 말 포드와 폴크스바겐의 심문 녹취록 제출을 요청했는데 이번에는 녹취록 전문을 제출하라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LG화학 관계자는 "앞서 (지난해 말) ITC에 제출했던 녹취록은 일부이고 이번에 (ITC의 제출 요청은) 양측의 변호인이 포드와 폴크스바겐을 심문했던 전체 스크립트를 제출하라고 한 것"이라며 "이는 통상적 ITC 활동의 일환일 뿐 결과에 영향을 미칠 만한 사안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LG화학은 2019년 10월24일자 폴크스바겐 녹취록과 2019년 11월8일자 포드 심문 녹취록을 제출했다.
포드와 폴크스바겐은 SK이노베이션이 짓고 있는 미국 조지아주 공장에서 전기차 배터리의 대부분을 조달하기로 하면서 SK이노베이션의 조기 패소 결정에 반대의견을 낸 바 있다.
포드는 지난 5월 미국 국제무역위에 "LG화학은 F-150 전기차에 들어가는 대체 배터리를 공급할 수 없다"며 "미국 국제무역위가 내린 SK이노베이션의 조기 패소 결정은 미국 경제 전체와 공익, 보건, 복지 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반대 의견을 담은 탄원서를 제출했다.
폴크스바겐도 "SK이노베이션과 맺은 계약이 파기된다면 고임금 일자리를 원하는 미국 노동자들과 전기차 소비자들에 피해를 준다"고 주장했다.
미국 국제무역위의 녹취록 전문 제출 요청과 관련해 엇갈리는 해석이 나온다.
한편에서는 미국 국제무역위가 최종 결정을 앞두고 공익 여부를 추가로 따져보고 중재안을 내거나 예비결정에 대한 ‘수정’ 지시를 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다른 쪽에서는 코로나19 등으로 연기됐던 자료 검토를 위해 추가 제출을 요구한 것일 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비즈니스포스트 성보미 기자]
6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미국 국제무역위는 앞서 10월30일 LG화학이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제기한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소송과 관련해 두 회사 변호인이 완성차기업인 포드와 폴크스바겐을 상대로 진행했던 심문 녹취록을 제출해줄 것을 요청했다.

▲ 신학철 LG화학 대표이사 부회장 김준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 총괄사장.
미국 국제무역위는 지난해 말 포드와 폴크스바겐의 심문 녹취록 제출을 요청했는데 이번에는 녹취록 전문을 제출하라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LG화학 관계자는 "앞서 (지난해 말) ITC에 제출했던 녹취록은 일부이고 이번에 (ITC의 제출 요청은) 양측의 변호인이 포드와 폴크스바겐을 심문했던 전체 스크립트를 제출하라고 한 것"이라며 "이는 통상적 ITC 활동의 일환일 뿐 결과에 영향을 미칠 만한 사안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LG화학은 2019년 10월24일자 폴크스바겐 녹취록과 2019년 11월8일자 포드 심문 녹취록을 제출했다.
포드와 폴크스바겐은 SK이노베이션이 짓고 있는 미국 조지아주 공장에서 전기차 배터리의 대부분을 조달하기로 하면서 SK이노베이션의 조기 패소 결정에 반대의견을 낸 바 있다.
포드는 지난 5월 미국 국제무역위에 "LG화학은 F-150 전기차에 들어가는 대체 배터리를 공급할 수 없다"며 "미국 국제무역위가 내린 SK이노베이션의 조기 패소 결정은 미국 경제 전체와 공익, 보건, 복지 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반대 의견을 담은 탄원서를 제출했다.
폴크스바겐도 "SK이노베이션과 맺은 계약이 파기된다면 고임금 일자리를 원하는 미국 노동자들과 전기차 소비자들에 피해를 준다"고 주장했다.
미국 국제무역위의 녹취록 전문 제출 요청과 관련해 엇갈리는 해석이 나온다.
한편에서는 미국 국제무역위가 최종 결정을 앞두고 공익 여부를 추가로 따져보고 중재안을 내거나 예비결정에 대한 ‘수정’ 지시를 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다른 쪽에서는 코로나19 등으로 연기됐던 자료 검토를 위해 추가 제출을 요구한 것일 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비즈니스포스트 성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