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이 21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소폭 확대됐다. 

고가의 강남권 부동산을 향한 매수세는 줄었지만 전세물량 부족으로 중저가 단지 수요가 늘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소폭 확대, 전세 부족해 중저가 단지 수요 늘어

▲ 서울 일대 아파트 모습.


5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1월2일 기준 11월1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2%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0.01%포인트 커졌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6월2주에 10주 만에 오른 뒤 21주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감정원은 “강남권 고가 재건축 단지는 관망세가 나타나며 가격이 하락했지만 이밖에 중저가 단지는 전세물량 부족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강북 14개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2%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0.01%포인트 커졌다.

중랑구(0.08%)는 묵동과 면목동 구축 위주로, 노원구(0.03%)는 월계동 구축 대단지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강북구(0.03%)는 수유동, 미아동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높아졌다. 

강남 11개구는 전주보다 아파트값이 0.01%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강남4구로 꼽히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가운데 강남구(-0.01%)는 재건축 단지 위주로 가격이 하락했다. 송파구(0.01%)는 문정동, 거여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가격이 상승했고 서초구, 강동구는 보합세를 이어갔다.

관악구(0.03%)는 신림동, 봉천동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강서구(0.02%)는 마곡동, 방화동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했고 금천구(0.02%)는 시흥동 일부 구축 대단지 위주로 아파트값이 올랐다. 

10월4주차 전국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17% 높아졌다.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0.04%포인트 확대됐다.

수도권은 0.15% 올라 상승폭이 전주보다 0.04%포인트 커졌다. 지방은 0.19% 상승해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0.04%포인트 확대됐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을 살펴보면 대전(0.41%), 부산(0.37%), 대구(0.3%), 울산(0.27%), 세종(0.25%), 경기(0.23%), 충남(0.23%), 인천(0.15%), 전북(0.15%) 등은 올랐다. 제주(-0.01%)는 하락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