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파크가 이월드에서 추진하는 유상증자에 참여해 100억 원을 지원했다.
이랜드파크는 이랜드그룹에서 여행과 숙박, 외식사업을 하고 있다.
![]() |
||
▲ 유병천 이월드 대표이사. |
이랜드파크는 이월드에 매년 자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이월드의 수익성은 눈에 띄게 개선되지는 않고 있다.
이랜드파크도 부채비율도 개선되지 않아 동반 부실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이월드 주가는 27일 전일보다 2.61%(80원) 오른 3145원에 장을 마감했다. 장중 한때 19% 이상 오르기도 했다.
이월드 주가는 이랜드파크가 이월드의 유상증자에 참여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올랐다.
이월드는 1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신주 328만4073주를 발행하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제3자 배정 대상자는 이랜드파크다.
이월드 유상증자 참여로 이랜드파크가 보유한 이월드 지분은 기존 76.87%에서 77.71%로 늘어나게 된다. 이랜드파크는 거의 매년 이월드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이랜드파크는 지난해 50억 원, 2013년 100억 원을 이월드에 지원했다. 이랜드파크는 그동안 유상증자 참여와 전환사채 매입 등을 통해 이월드에 8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했다.
이랜드그룹 관계자는 “이번 유상증자는 레저관광사업을 키우기 위한 것”이라며 “이월드 실적도 점점 좋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랜드파크와 이월드는 동반해 경영실적이 부진한 상황이다.
이랜드파크는 지난해 기준으로 부채가 5373억 원이나 돼 부채비율이 210%를 넘어섰다.
이랜드파크는 지난해 매출 5890억 원, 영업이익 97억 원에 그쳤다. 영업이익률이 1.7%에 불과해 수익성이 떨어진다.
이월드는 사정이 더욱 열악하다. 이월드는 지난해 매출 218억 원, 영업손실 35억 원을 봤다. 이월드는 수년 동안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레저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랜드파크는 10월에 현금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주 켄싱턴호텔을 이랜드 중국법인에 매각했다”며 “이랜드파크는 2010년부터 10여 개 국내 리조트를 인수하면서 대규모 투자를 이어간 탓에 재무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계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