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일순 홈플러스 대표이사 사장이 총파업을 내걸고 임금인상을 압박하고 있는 노조를 설득하기가 힘겨워 보인다.
마트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홈플러스 노조)는 기존에 요구했던 인상률에서 최저임금 인상률로 낮춰 제안하고 있지만 홈플러스의 높은 부채비율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증가로 임 사장으로서 이를 받아드리기가 쉽지 않다.
8일 홈플러스 노조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노조는 홈플러스 사측이 제시한 2년치 기본급 1.2% 인상안을 최저임금 인상률 수준으로 수정한다면 협상을 이어갈 수 있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홈플러스 노사는 8월 임단협 본교섭을 위해 2차례 만났지만 사측이 2020년 임금인상률은 동결하고 2021년의 인상률을 1.2%로 제시하면서 논의가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홈플러스 노조는 8월 2차례 교섭이 무산된 이후 9월 총파업까지 예고했지만 유통업계 ‘특수’로 꼽히는 추석연휴인 만큼 단체행동 일정을 추석 이후로 미룬 것으로 파악됐다.
홈플러스 노조 관계자는 "임단협 교섭이 진전되지 않고 있어 파업을 포함해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 행사를 진행할 수 있다"며 "다만 추석연휴를 앞두고 있는 만큼 총파업을 진행하더라도 10월 이후로 내부적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노조는 당초 임단협 초반에만 해도 기본급의 18.9% 인상률을 제시했지만 8월 본교섭 이후 5.9%로 수정하고 다시 3.3%로 낮췄다.
홈플러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이 꾸준히 교섭을 요구하고 있지만 2년치 임금 인상률을 1.2%로 유지하고 있어 의미 없는 대화에 불과해 교섭에 나서지 않고 있다”며 “사측이 최저임금 인상률인 3.3% 수준의 수정안과 함께 고용안정책 등을 제시한다면 언제든지 노조는 교섭 테이블에 앉아 협상을 진행할 의지가 있다”고 말했다.
임 사장에게 노사갈등의 조속한 해결은 중요하다.
홈플러스는 현재 코로나19 경영위기에 대응해 온라인 전환을 빠르게 이뤄내야 한다. 임 사장은 올해 홈플러스 사업구조를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네이버 등 플랫폼에도 적극적으로 입점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임단협이 무산되고 노조가 단체활동에 들어간다면 임 사장은 경영적 타격을 맞게 된다.
하지만 임 사장이 노조가 요구하는 3.3% 인상안을 받아드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홈플러스의 금융비용과 임차비용 등의 부담이 커져 잉여현금을 창출이 제한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건비 인상까지 부담을 안기가 쉽지 않다.
홈플러스는 2019 회계연도에서 전환상환우선주가 차입금으로 전환하면서 부채비율이 860%에 이르고 있다. 2018년 회계연도에서 같은 기준으로 부채비율은 670.6%였다.
같은 기간 현금창출능력 대비 차입금 규모는 9.3배에서 10.6배로 늘어나면서 빚을 줄일 수 있는 능력은 떨어지고 있다. 이런 점을 들어 한국신용평가는 8월29일 홈플러스의 단기 신용등급을 A2에서 A2-로 하향조정하기도 했다.
홈플러스는 7월 말에 2조5천억 원 규모의 차입금을 상환하는 과정에서 2조2천억 원 규모의 차입금을 자산매각과 점포 매각후재임대(세일앤리즈백) 등으로 마련했다.
매각후재임대는 점포를 매각하는 시점에 현금유입으로 재무개선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임차료를 고정적으로 내야 하기 때문에 현금지출 부담은 커진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홈플러스가 자산 유동화 과정에서 인력 구조조정이 없다고 강조하고 있는 것도 노조와 마찰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며 “대형마트업황이 어려운 상황에서 노사합의를 이끌어가기에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
마트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홈플러스 노조)는 기존에 요구했던 인상률에서 최저임금 인상률로 낮춰 제안하고 있지만 홈플러스의 높은 부채비율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증가로 임 사장으로서 이를 받아드리기가 쉽지 않다.

▲ 임일순 홈플러스 대표이사 사장.
8일 홈플러스 노조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노조는 홈플러스 사측이 제시한 2년치 기본급 1.2% 인상안을 최저임금 인상률 수준으로 수정한다면 협상을 이어갈 수 있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홈플러스 노사는 8월 임단협 본교섭을 위해 2차례 만났지만 사측이 2020년 임금인상률은 동결하고 2021년의 인상률을 1.2%로 제시하면서 논의가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홈플러스 노조는 8월 2차례 교섭이 무산된 이후 9월 총파업까지 예고했지만 유통업계 ‘특수’로 꼽히는 추석연휴인 만큼 단체행동 일정을 추석 이후로 미룬 것으로 파악됐다.
홈플러스 노조 관계자는 "임단협 교섭이 진전되지 않고 있어 파업을 포함해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 행사를 진행할 수 있다"며 "다만 추석연휴를 앞두고 있는 만큼 총파업을 진행하더라도 10월 이후로 내부적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노조는 당초 임단협 초반에만 해도 기본급의 18.9% 인상률을 제시했지만 8월 본교섭 이후 5.9%로 수정하고 다시 3.3%로 낮췄다.
홈플러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이 꾸준히 교섭을 요구하고 있지만 2년치 임금 인상률을 1.2%로 유지하고 있어 의미 없는 대화에 불과해 교섭에 나서지 않고 있다”며 “사측이 최저임금 인상률인 3.3% 수준의 수정안과 함께 고용안정책 등을 제시한다면 언제든지 노조는 교섭 테이블에 앉아 협상을 진행할 의지가 있다”고 말했다.
임 사장에게 노사갈등의 조속한 해결은 중요하다.
홈플러스는 현재 코로나19 경영위기에 대응해 온라인 전환을 빠르게 이뤄내야 한다. 임 사장은 올해 홈플러스 사업구조를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네이버 등 플랫폼에도 적극적으로 입점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임단협이 무산되고 노조가 단체활동에 들어간다면 임 사장은 경영적 타격을 맞게 된다.
하지만 임 사장이 노조가 요구하는 3.3% 인상안을 받아드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홈플러스의 금융비용과 임차비용 등의 부담이 커져 잉여현금을 창출이 제한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건비 인상까지 부담을 안기가 쉽지 않다.
홈플러스는 2019 회계연도에서 전환상환우선주가 차입금으로 전환하면서 부채비율이 860%에 이르고 있다. 2018년 회계연도에서 같은 기준으로 부채비율은 670.6%였다.
같은 기간 현금창출능력 대비 차입금 규모는 9.3배에서 10.6배로 늘어나면서 빚을 줄일 수 있는 능력은 떨어지고 있다. 이런 점을 들어 한국신용평가는 8월29일 홈플러스의 단기 신용등급을 A2에서 A2-로 하향조정하기도 했다.
홈플러스는 7월 말에 2조5천억 원 규모의 차입금을 상환하는 과정에서 2조2천억 원 규모의 차입금을 자산매각과 점포 매각후재임대(세일앤리즈백) 등으로 마련했다.
매각후재임대는 점포를 매각하는 시점에 현금유입으로 재무개선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임차료를 고정적으로 내야 하기 때문에 현금지출 부담은 커진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홈플러스가 자산 유동화 과정에서 인력 구조조정이 없다고 강조하고 있는 것도 노조와 마찰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며 “대형마트업황이 어려운 상황에서 노사합의를 이끌어가기에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