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CJ헬로비전을 인수하게 되면 향후 통신과 방송을 결합한 미디어 사업에서 날개를 달 것으로 전망됐다.
CJ헬로비전의 기업가치도 지금보다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 |
||
▲ 장동현 SK텔레콤 사장. |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최근 알뜰폰과 방송미디어 시장이 이동통신사 중심으로 재편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SK텔레콤으로서는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SK텔레콤은 이동통신 시장점유율 49%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알뜰폰 점유율 1위와 2위를 달리고 있는 CJ헬로비전과 SK텔레콤의 자회사인 SK텔링크의 점유율을 합칠 경우 알뜰폰 시장점유율이 35% 가량으로 뛰게 된다.
이동통신시장에서 SK텔레콤의 지배력이 더욱 높아지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2016년 글로벌 최대 유료방송 기업인 ‘넷플릭스’의 한국진출에 대비해 정부가 유료방송 시장의 규제를 완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 경우 SK텔레콤은 CJ헬로비전이 시장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는 케이블TV 사업과 SK브로드밴드의 인터넷방송(IPTV) 사업에서 모두 수익성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을 새 주인으로 맞게 된 CJ헬로비전도 향후 기업가치가 재평가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홍세종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CJ헬로비전은 알뜰폰과 케이블TV 사업의 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SK텔레콤에 인수가 결정됐다”며 “막강한 자금력을 등에 업고 디지털방송과 주문형 다시보기(VOD) 사업 등의 기술개발에 투자할 수 있게 됐다”고 분석했다.
그는 “알뜰폰의 경우 CJ헬로비전만 가입자 30만 명을 넘겼고 가입자당수익(ARPU)도 경쟁기업 가운데 가장 높다”며 “향후 SK텔링크와 기술개발과 망공유 사업 협력이 기대되기 때문에 수익성은 빠르게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홍 연구원은 CJ헬로비전이 4분기에 매출 2714억 원, 영업이익 320억 원 낼 것으로 추산했다. 이 예상치는 난해 4분기보다 영업이익이 44.7% 증가하는 것으로 케이블TV와 알뜰폰 수익성이 그 만큼 개선될 수 있다고 보는 셈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서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