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요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더욱 빨라지고 있어 내년까지 경제에 큰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미국 증권사가 바라봤다.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21일 증권사 골드만삭스를 인용해 "코로나19 확진사례가 늘어나는 지역에서 경제활동 중단조치가 확산돼 미국경제에 장기적 악영향을 미칠 잠재력이 있다"고 보도했다.
캘리포니아주와 텍사스주, 플로리다주와 애리조나주 등에서 최근 코로나19 확산이 빨라지고 있어 경제상황도 예상보다 더 악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 하루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평균 6만6천 명 수준까지 늘었다.
골드만삭스는 이런 상황을 반영해 3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지난해 3분기 대비 -33%로 기존 전망치보다 8%포인트 낮춰 잡았다.
포브스는 텍사스와 캘리포니아주 등에서 실행하는 마스크 의무착용과 식당 실내영업 중단 등 조치가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바라봤다.
미국 주요 지역에서 경제활동 중단과 사업장 운영 중단 등 조치가 이어져 내년까지 경제적 타격을 남길 가능성도 떠오르고 있다.
포브스는 "코로나19로 직장을 떠난 노동자가 다시 취업을 하는 일은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완전히 폐업을 결정하는 사업장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바라봤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미국 전체에서 약 80%에 해당하는 지역이 경제활동 재개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거나 경제활동을 다시 중단하는 조치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21일 증권사 골드만삭스를 인용해 "코로나19 확진사례가 늘어나는 지역에서 경제활동 중단조치가 확산돼 미국경제에 장기적 악영향을 미칠 잠재력이 있다"고 보도했다.

▲ 영업을 중단한 미국 플로리다주 식당. <연합뉴스>
캘리포니아주와 텍사스주, 플로리다주와 애리조나주 등에서 최근 코로나19 확산이 빨라지고 있어 경제상황도 예상보다 더 악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 하루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평균 6만6천 명 수준까지 늘었다.
골드만삭스는 이런 상황을 반영해 3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지난해 3분기 대비 -33%로 기존 전망치보다 8%포인트 낮춰 잡았다.
포브스는 텍사스와 캘리포니아주 등에서 실행하는 마스크 의무착용과 식당 실내영업 중단 등 조치가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바라봤다.
미국 주요 지역에서 경제활동 중단과 사업장 운영 중단 등 조치가 이어져 내년까지 경제적 타격을 남길 가능성도 떠오르고 있다.
포브스는 "코로나19로 직장을 떠난 노동자가 다시 취업을 하는 일은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완전히 폐업을 결정하는 사업장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바라봤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미국 전체에서 약 80%에 해당하는 지역이 경제활동 재개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거나 경제활동을 다시 중단하는 조치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