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투자가 구독경제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출시했다.
신한금융투자는 구독경제사업을 추구하는 기업들에 투자해 운용되는 '키움 글로벌 구독경제 펀드'를 판매한다고 14일 밝혔다.
구독경제란 일정 기간마다 사용료를 내고 물건, 상품, 서비스 등을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사업구조를 의미한다. 4차산업혁명과 소비형태 변화 등의 영향으로 점점 그 규모가 커지고 있다.
키움 글로벌 구독경제 펀드는 주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넷플릭스와 같은 해외 미디어기업과 정기적으로 구독료를 받는 B2B기업(기업을 대상으로 거래하는 기업), 플랫폼 기반의 구독경제모델을 추구하는 소비재, 내구재, 서비스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기회를 발굴하는 것이 특징이다.
구독경제사업을 하는 기업 가운데 양호한 재무상태와 우수한 성장성을 지닌 기업을 선별해 투자한다고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설명했다.
키움 글로벌 구독경제 펀드는 환노출형(UH), 환헤지형(H) 가운데 선택할 수 있고 C클래스(선취수수료가 없는 대신 운용기간에 비례해 정률로 판매보수를 떼는 방식)의 총 보수비용은 연 1.94%다.
자세한 사항은 신한금융투자 홈페이지 및 고객지원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
신한금융투자는 구독경제사업을 추구하는 기업들에 투자해 운용되는 '키움 글로벌 구독경제 펀드'를 판매한다고 14일 밝혔다.

▲ 신한금융투자 로고.
구독경제란 일정 기간마다 사용료를 내고 물건, 상품, 서비스 등을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사업구조를 의미한다. 4차산업혁명과 소비형태 변화 등의 영향으로 점점 그 규모가 커지고 있다.
키움 글로벌 구독경제 펀드는 주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넷플릭스와 같은 해외 미디어기업과 정기적으로 구독료를 받는 B2B기업(기업을 대상으로 거래하는 기업), 플랫폼 기반의 구독경제모델을 추구하는 소비재, 내구재, 서비스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기회를 발굴하는 것이 특징이다.
구독경제사업을 하는 기업 가운데 양호한 재무상태와 우수한 성장성을 지닌 기업을 선별해 투자한다고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설명했다.
키움 글로벌 구독경제 펀드는 환노출형(UH), 환헤지형(H) 가운데 선택할 수 있고 C클래스(선취수수료가 없는 대신 운용기간에 비례해 정률로 판매보수를 떼는 방식)의 총 보수비용은 연 1.94%다.
자세한 사항은 신한금융투자 홈페이지 및 고객지원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