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투어 주식 매수에 신중해야 할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하나투어의 매출 회복은 2021년부터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하나투어 주식 매수 신중해야", 코로나19로 매출회복 내년부터 가능

▲ 하나투어 로고.


안진아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22일 하나투어 목표주가를 4만5천 원, 투자의견을 중립(HOLD)으로 새로 제시했다.

직전 거래일인 19일 하나투어 주가는 3만9천 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안 연구원은 “하나투어는 코로나19로 올해 2분기 적자 확대는 불가피하다”면서도 “저점을 통과하고 있는 대장주”라고 말했다.

여행 수요의 근간인 출국자 수는 2020년을 저점으로 해 2021년부터 반등할 것으로 예상됐다.

안 연구원은 “출국자 수의 회복은 코로나19 완화 정도와 시기에 따라 결정될 수밖에 없다”면서도 “2021년 출국자 수 반등이 가시화되기 시작해 2022년에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약 70% 정도까지 회복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구권의 동양인 인종차별과 국가별 코로나19 완화속도를 고려할 때 장거리보다 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회복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됐다.

하나투어의 적자는 출국자 수 회복이 이뤄지지 않는 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하나투어는 연결기준으로 2분기에 매출 573억 원, 영업손실 496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70.4% 줄고 적자는 지속하는 것이다.

안 연구원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해외여행의 잠재수요는 커지고 있다”며 “해외여행의 이연수요가 2022년부터 증가하면서 살아남은 여행업체에게 수혜가 집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나투어는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3327억 원, 영업손실 1502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19년보다 매출은 56.4% 줄고 영업손실을 내면서 적자로 전환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