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올해부터 3D낸드 양산을 시작한다. 20나노 D램은 이미 양산에 들어갔다.
박성욱 SK하이닉스 사장이 14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한국전자산업대전’에 참석해 SK하이닉스의 3D낸드와 20나노 공정의 D램 양산계획에 대해 밝혔다.
![]() |
||
▲ 박성욱 SK하이닉스 사장. |
3D낸드는 메모리반도체인 낸드플래시의 반도체소자를 입체적으로 쌓아 성능과 집적도를 높이고 전력 소모와 무게를 줄인 반도체 부품이다.
업계에서 3D낸드로 생산된 SSD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업체는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인텔과 도시바, 마이크론 등 세계 반도체기업들도 3D낸드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사장은 36단 3D낸드의 양산에 이어 더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48단 제품의 양산계획도 밝히며 SK하이닉스의 반도체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박 사장은 SK하이닉스의 20나노 공정으로 생산하는 메모리반도체 제품인 D램도 이미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박 사장은 “20나노 제품 생산을 위해 새 공정을 도입하며 어려움도 있었지만 안정화 단계에 들어갔다”며 “이미 고객사에 샘플을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업계에서 가장 앞선 기술인 20나노 공정으로 D램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업체는 삼성전자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사장은 SK하이닉스의 시스템반도체 사업 확대 계획도 밝혔다.
박 사장은 “시스템반도체사업 확대는 하루아침에 될 문제가 아니다”라며 “내부 역량이 없으면 사업 확대가 힘들기 때문에 위탁생산 사업 확대 등을 먼저 검토한 뒤 다음 단계를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