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6·10민주항쟁 33주년을 맞아 민주주의에 헌신한 인사들을 예우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1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6·10민주항쟁 33주년을 맞아 목숨을 바친 희생과 용기있는 행동으로 쟁취한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가슴 깊이 새겨본다”며 “정부는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하신 민주인사와 관련해 국가 차원의 합당한 예우를 갖추는데 한 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엄혹했던 시절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한 사제, 의사, 기자, 국과수 부검의, 검사들의 용기있는 행동을 기억한다”며 “이들로 우리의 민주주의는 앞당겨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총리는 “6·10민주항쟁은 4·19혁명, 부마민주항쟁, 5·18민주화운동의 맥을 잇는 주권재민의 원칙을 재확인한 의미 있는 날”이라며 “불의한 권력은 결코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국민을 이길 수 없다는 진리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과거사 문제 해결에도 힘을 쏟겠다고 했다.
정 총리는 “과거사 문제의 진정한 해결이 화해와 상생의 미래로 나가는 길”이라며 “민주주의의 역사를 바로 세우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
정 총리는 1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6·10민주항쟁 33주년을 맞아 목숨을 바친 희생과 용기있는 행동으로 쟁취한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가슴 깊이 새겨본다”며 “정부는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하신 민주인사와 관련해 국가 차원의 합당한 예우를 갖추는데 한 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정세균 국무총리.
그는 “엄혹했던 시절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한 사제, 의사, 기자, 국과수 부검의, 검사들의 용기있는 행동을 기억한다”며 “이들로 우리의 민주주의는 앞당겨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총리는 “6·10민주항쟁은 4·19혁명, 부마민주항쟁, 5·18민주화운동의 맥을 잇는 주권재민의 원칙을 재확인한 의미 있는 날”이라며 “불의한 권력은 결코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국민을 이길 수 없다는 진리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과거사 문제 해결에도 힘을 쏟겠다고 했다.
정 총리는 “과거사 문제의 진정한 해결이 화해와 상생의 미래로 나가는 길”이라며 “민주주의의 역사를 바로 세우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