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의 전현직 사장과 최고재무책임자(CFO)들이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한다.
대우조선해양의 경영부실과 분식회계 여부가 이번 국정감사의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
▲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
정성립 사장, 고재호 전 사장, 남상태 전 사장, 김갑중 부사장, 김열중 전 부사장, 김유훈 전 부사장이 이번 국감의 증인으로 참석하는 대우조선해양 인사다.
대우조선해양의 전현직 간부 중 일부는 연임을 하기 위해 무리하게 수주하고 일부러 부실을 감췄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해양플랜트 부실로 올 상반기 3조 원이 넘는 적자를 냈다.
이번 국정감사의 쟁점은 대우조선해양과 관련한 최대주주 산업은행의 무능력, 관련 금융당국의 부실 관리, 정치권 관료의 낙하산 인사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회 정무위 위원들은 대우조선해양 전현직 간부들의 부실 경영과 분식회계 여부에 초점을 맞춰 추궁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특히 최고재무책임자들은 홍기택 산업은행장과 함께 부실 관리책임을 집중적으로 추궁 당할 가능성이 높다. 3조 원대 부실은 회계전문가인 최고재무책임자의 묵인 없이는 숨길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기 때문이다.
대우조선해양 전현직 최고재무책임자는 모두 산업은행에서 파견한 인사다.
김갑중 대우조선해양 부사장은 산업은행 부행장 출신으로 고재호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 시절의 최고재무책임자였다. 김열중 전 대우조선해양 최고재무책임자 역시 산업은행 부행장 출신이다.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겸 정무위 간사는 "최고재무책임자를 파견해 왔던 대주주 산업은행이 부실을 인지하지도 못했다는 것은 산업은행의 무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해양플랜트 부문의 능력도 없으면서 무모하게 뛰어든 대우조선해양과 낙하산 사장에 낙하산 사외이사까지 보낸 정부 등 대우조선해양은 그야말로 모든 부분이 문제덩어리"라고 지적했다.
김기식 의원에 따르면 2008년 3월 이후 임명된 대우조선해양 사외이사 18명 가운데 12명이 정치권과 관료 출신의 낙하산 인사였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준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