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유럽에서 친환경차 수요가 늘어나 전기차에 대형전지를 공급하는 삼성SDI가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됐다.
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31일 삼성SDI 목표주가를 기존 28만1천 원에서 31만5천 원으로 높이고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30일 삼성SDI주가는 28만7천 원에 장을 마감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유럽의 탄소배출규제가 강화돼 전기차 등 친환경차시장은 2019년보다 60%가량 성장할 것으로 본다.
이에 전기차용 배터리를 공급하는 삼성SDI 매출도 약 70%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I의 실적은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전지부문이 실적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분석됐다.
메리츠종금증권은 삼성SDI가 1분기에 시장 전망치(컨센서스)보다 48.2% 낮은 영업이익 854억 원을 낼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삼성SDI 주식의 투자가치도 높다고 바라봤다.
삼성SDI가 삼성디스플레이의 2대주주라는 점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실적 증가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출시를 앞두고 있는 ‘갤럭시블룸’ 등 삼성전자의 폴더블(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를 공급하고 있어 실적 증가가 전망된다.
삼성SDI는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2조1530억 원, 영업이익 8794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19년보다 매출은 20.4%, 영업이익은 90.2%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영찬 기자]
유럽에서 친환경차 수요가 늘어나 전기차에 대형전지를 공급하는 삼성SDI가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됐다.

▲ 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31일 삼성SDI 목표주가를 기존 28만1천 원에서 31만5천 원으로 높이고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30일 삼성SDI주가는 28만7천 원에 장을 마감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유럽의 탄소배출규제가 강화돼 전기차 등 친환경차시장은 2019년보다 60%가량 성장할 것으로 본다.
이에 전기차용 배터리를 공급하는 삼성SDI 매출도 약 70%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I의 실적은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전지부문이 실적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분석됐다.
메리츠종금증권은 삼성SDI가 1분기에 시장 전망치(컨센서스)보다 48.2% 낮은 영업이익 854억 원을 낼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삼성SDI 주식의 투자가치도 높다고 바라봤다.
삼성SDI가 삼성디스플레이의 2대주주라는 점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실적 증가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출시를 앞두고 있는 ‘갤럭시블룸’ 등 삼성전자의 폴더블(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를 공급하고 있어 실적 증가가 전망된다.
삼성SDI는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2조1530억 원, 영업이익 8794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19년보다 매출은 20.4%, 영업이익은 90.2%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영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