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이 K2전차 2차 양산사업의 첫 생산분을 출고했다.
현대로템은 27일 창원공장에서 군을 비롯해 방위사업청과 국방기술품질원, 국방과학연구소 등 사업 관련 기관과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K2전차 2차 양산 출고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K2 2차 양산사업 재개되면서 초도물량 출고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이번 출고식이 개최됐다.
현대로템이 이날 출고한 K2전차는 2대이며 2021년까지 2차 양산분을 전부 납품하게 된다.
K2전차 2차 양산사업은 애초 2014년 계약이 체결돼 2017년까지 납품이 마무리돼야 했다.
하지만 K2전차에 쓰이는 국산 변속기가 내구도 시험에 통과하지 못해 2년 이상 전체사업이 중단됐다.
현대로템은 수십여 대의 K2전차를 생산해놓고도 변속기가 없어 납품을 하지 못했다.
방위사업청이 2018년 2월에 열린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국산 엔진과 독일 변속기를 조합해 K2전차에 탑재하는 것으로 결정했고 올해 초 3200km 주행시험과 저온시동 시험 등을 이상 없이 통과해 이번 초도물량이 생산될 수 있었다.
현대로템은 K2전차 2차 양산사업이 정상화하면서 3차 양산사업 추진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2전차는 2008년 개발이 완료된 군의 차세대 전차다. 주포로 120mm 활강포를 적용했으며 최대속도 70km/h를 보인다. 자동장전 장치 탑재로 탄약수가 필요 없어 운용인원도 K1전차(4명)과 비교해 3명으로 줄었다.
현대토렘은 터키에 K2전차의 기술을 수출하는 성과를 냈는데 앞으로 제품 현지화에 노력해 중동 등 해외 전차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현대로템은 “K2전차의 2차 양산 정상화와 3차 양산 조기 추진 기대감으로 협력사에도 활력이 돌고 있다”며 “철저한 사업 수행으로 K2전차를 제때 납품하고 협력사들과 함께 상생발전해 국내 방산업계의 발전에도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
현대로템은 27일 창원공장에서 군을 비롯해 방위사업청과 국방기술품질원, 국방과학연구소 등 사업 관련 기관과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K2전차 2차 양산 출고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 K2전차. <현대로템>
K2 2차 양산사업 재개되면서 초도물량 출고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이번 출고식이 개최됐다.
현대로템이 이날 출고한 K2전차는 2대이며 2021년까지 2차 양산분을 전부 납품하게 된다.
K2전차 2차 양산사업은 애초 2014년 계약이 체결돼 2017년까지 납품이 마무리돼야 했다.
하지만 K2전차에 쓰이는 국산 변속기가 내구도 시험에 통과하지 못해 2년 이상 전체사업이 중단됐다.
현대로템은 수십여 대의 K2전차를 생산해놓고도 변속기가 없어 납품을 하지 못했다.
방위사업청이 2018년 2월에 열린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국산 엔진과 독일 변속기를 조합해 K2전차에 탑재하는 것으로 결정했고 올해 초 3200km 주행시험과 저온시동 시험 등을 이상 없이 통과해 이번 초도물량이 생산될 수 있었다.
현대로템은 K2전차 2차 양산사업이 정상화하면서 3차 양산사업 추진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2전차는 2008년 개발이 완료된 군의 차세대 전차다. 주포로 120mm 활강포를 적용했으며 최대속도 70km/h를 보인다. 자동장전 장치 탑재로 탄약수가 필요 없어 운용인원도 K1전차(4명)과 비교해 3명으로 줄었다.
현대토렘은 터키에 K2전차의 기술을 수출하는 성과를 냈는데 앞으로 제품 현지화에 노력해 중동 등 해외 전차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현대로템은 “K2전차의 2차 양산 정상화와 3차 양산 조기 추진 기대감으로 협력사에도 활력이 돌고 있다”며 “철저한 사업 수행으로 K2전차를 제때 납품하고 협력사들과 함께 상생발전해 국내 방산업계의 발전에도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