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가 러시아에서 점유율을 큰 폭으로 늘렸다.
러시아시장의 루블화 폭락과 경제불안 등으로 경쟁기업들은 생산과 판매를 줄이고 있다.
![]() |
||
▲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
14일 유럽기업인협회(AEB)에 따르면 4월 러시아에서 현대차는 1만3천701대를, 기아차는 1만3천902대를 각각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4%, 21.7% 줄어든 수치다. 하지만 러시아 전체 자동차 수요가 41.5%나 급감한 점을 고려하면 현대기아차의 판매량은 선방한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현대기아차의 경쟁 자동차회사들은 큰 폭으로 판매량이 줄었다. GM은 7589대를 파는 데 그쳐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9%나 감소했다. 이는 GM이 지난 3월 말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생산공장의 가동을 중단한데 따른 여파로 풀이된다.
아브토바즈르노닛산그룹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3% 감소한 4만2709대를 판매했으며 폴크스바겐그룹도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5.3% 줄어든 1만3301대를 파는데 그쳤다.
이 밖에도 도요타그룹(-46.6%), 포드(-48.3%), BMW 그룹(-37.7%), 푸조시트로엥(-73.4%) 등 대부분 자동차회사들의 판매량이 큰 폭으로 줄었다.
현대기아차는 경쟁업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판매량 감소가 덜해 시장점유율이 높아졌다.
현대기아차의 러시아시장 점유율은 현대차 10.3%, 기아차 10.5%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3%포인트와 2.7%포인트 상승했다.
러시아 현지 1위업체인 아브토바즈(17.3%)에 이어 기아차는 2위 현대차는 3위를 각각 차지했다.
현대기아차를 합칠 경우 점유율은 20.8%에 이르러 아브토바즈르노닛산그룹(32.2%)과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있다.
![]() |
||
▲ 러시아에서 판매중인 현대차 쏠라리스(엑센트) |
정 회장은 러시아 자동차시장이 어려울 때 점유율을 확대하면 환율이 안정됐을 때 시장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보고 계속 러시아 자동차시장에 주력했다.
정 회장은 다른 자동차회사들이 러시아 현지생산과 판매를 줄이는 데 반해 현대기아차 현지공장을 그대로 가동했다.
이 덕분에 러시아 현지에서 생산되는 현대차의 엑센트(현지명 쏠라리스)와 기아차의 뉴 리오는 각각 8990대와 7828대가 팔려 베스트셀링카 2위와 3위에 올랐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