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가 상품 유통 중단과 수출물량 감소로 1분기 부진한 실적을 냈다.
GC녹십자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868억 원, 영업이익 14억 원, 순이익 53억 원을 냈다고 30일 밝혔다.
2018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2.5%, 영업이익은 90.5%, 순이익은 71.4% 감소했다.
GC녹십자는 외부 도입상품의 유통 중단과 수두백신의 수출물량 감소에 따라 일시적으로 실적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연구개발비용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 늘어나는 등 판매관리비가 증가한 점도 실적 부진의 이유로 꼽았다.
GC녹십자 관계자는 "주력제품인 혈액제제 국내 매출은 2.2%로 증가하며 성장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며 "해외 매출에서도 혈액제제와 전문의약품 부문은 수출 증가에 힘입어 각각 48.6%, 83.9%의 높은 성장흐름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GC녹십자의 연결대상 계열사는 성장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GC녹십자엠에스는 1분기에 매출 222억 원을 냈다. 2018년 1분기보다 16.3% 올랐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적자폭을 줄이며 개선됐다.
진단전문기업 GC녹십자랩셀은 1분기에 매출 123억 원을 거뒀다. 검체검진서비스 분야의 성장흐름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10% 늘었다. 같은 기간 연구개발 비용은 2018년보다 67% 증가했다.
GC녹십자 관계자는 "1분기 실적은 원가 상승 등으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이며 올해 전체 실적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며 "최근 남반구 의약품 입찰에서 대규모 독감백신 수주를 이끌어낸 만큼 2분기에는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
GC녹십자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868억 원, 영업이익 14억 원, 순이익 53억 원을 냈다고 30일 밝혔다.

▲ 허은철 GC녹십자 대표이사 사장.
2018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2.5%, 영업이익은 90.5%, 순이익은 71.4% 감소했다.
GC녹십자는 외부 도입상품의 유통 중단과 수두백신의 수출물량 감소에 따라 일시적으로 실적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연구개발비용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 늘어나는 등 판매관리비가 증가한 점도 실적 부진의 이유로 꼽았다.
GC녹십자 관계자는 "주력제품인 혈액제제 국내 매출은 2.2%로 증가하며 성장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며 "해외 매출에서도 혈액제제와 전문의약품 부문은 수출 증가에 힘입어 각각 48.6%, 83.9%의 높은 성장흐름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GC녹십자의 연결대상 계열사는 성장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GC녹십자엠에스는 1분기에 매출 222억 원을 냈다. 2018년 1분기보다 16.3% 올랐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적자폭을 줄이며 개선됐다.
진단전문기업 GC녹십자랩셀은 1분기에 매출 123억 원을 거뒀다. 검체검진서비스 분야의 성장흐름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10% 늘었다. 같은 기간 연구개발 비용은 2018년보다 67% 증가했다.
GC녹십자 관계자는 "1분기 실적은 원가 상승 등으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이며 올해 전체 실적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며 "최근 남반구 의약품 입찰에서 대규모 독감백신 수주를 이끌어낸 만큼 2분기에는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