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의 2018년 임단협 타결이 결국 해를 넘기게 됐다.
금속노조 현대중공업지부는 잠정합의안에 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내년으로 미루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27일 도출한 잠정합의안의 회의록 내용 가운데 세부 항목을 놓고 노조 내부에서 이견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항목에는 “노동조합은 (현대중공업그룹의) 사업 분할, 지주사 전환(통합 연구개발센터 건립 포함), 현대오일뱅크 운영 등에 관해 문제 제기를 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노조는 현재 회사 측에 이 문구를 수정하지 않으면 대의원 회의를 진행할 수 없다는 뜻을 전달해놨다.
노조 관계자는 "문구 내용 조정에 관해서는 현재 회사 측과 전혀 진전이 없는 상황"이라며 "내년에 투표를 언제 진행할 수 있을지도 아직 알수 없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지난해 4월 현대중공업이 현대중공업지주(옛 현대로보틱스)와 현대일릭트릭, 현대건설기계 등 4개 회사로 분할한 이후 '4회사 1노조'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 임단협이 해를 넘기면서 나머지 3개 회사의 임단협도 내년으로 미뤄지게 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
금속노조 현대중공업지부는 잠정합의안에 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내년으로 미루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 현대중공업 노조가 11월28일 울산조선소에서 파업을 벌이고 있다.
27일 도출한 잠정합의안의 회의록 내용 가운데 세부 항목을 놓고 노조 내부에서 이견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항목에는 “노동조합은 (현대중공업그룹의) 사업 분할, 지주사 전환(통합 연구개발센터 건립 포함), 현대오일뱅크 운영 등에 관해 문제 제기를 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노조는 현재 회사 측에 이 문구를 수정하지 않으면 대의원 회의를 진행할 수 없다는 뜻을 전달해놨다.
노조 관계자는 "문구 내용 조정에 관해서는 현재 회사 측과 전혀 진전이 없는 상황"이라며 "내년에 투표를 언제 진행할 수 있을지도 아직 알수 없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지난해 4월 현대중공업이 현대중공업지주(옛 현대로보틱스)와 현대일릭트릭, 현대건설기계 등 4개 회사로 분할한 이후 '4회사 1노조'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 임단협이 해를 넘기면서 나머지 3개 회사의 임단협도 내년으로 미뤄지게 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