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물가와 수입 물가가 환율, 국제유가 등의 영향을 받아 모두 내렸다. 

한국은행이 13일 내놓은 ‘2018년 11월 수출입 물가지수’에 따르면 수출 물가지수는 11월 기준 86.10(2010년 100기준)으로 집계됐다.
 
11월 수출과 수입물가 모두 내려, 환율과 유가 하락 영향

▲ 한국은행이 13일 내놓은 ‘11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수출물가지수는 11월 기준으로 86.10(2010년을 100기준으로)로 집계됐다. 11월 수입물가지수는 87.96으로 나타났다.


수출 물가는 10월보다 2.3% 하락했다. 지난해 11월과 비교하면 1.1% 올랐다.  

원/달러 환율이 하락한 가운데 석탄 및 석유제품과 화학제품의 가격도 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11월 평균 원/달러 환율은 1128.58원으로 10월보다 0.2% 하락했다. 

10월보다 농림수산품 가격이 1.0%, 공산품은 2.4% 떨어졌다. 

공산품의 세부항목을 들여다보면 석탄 및 석유제품(-15.3%), 화학제품(-3.2%), 전자 및 전자기기(-1.0%) 순으로 가격이 많이 하락했다.  

수입 물가는 10월보다 4.6% 하락했다. 두바이유 가격이 하락한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두바이유 가격은 11월 기준 배럴당 65.56달러로 10월보다 17.4% 떨어졌다. 

용도별로 살보면 원재료 가격이 10월과 비교해 9.1% 떨어져 하락폭이 가장 컸다.

원유(-17.6%), 아연광석(-3.3%), 연광석(-2.6%), 무연탄(-1.6%) 등 광산품 가격이 떨어진 데 영향을 받았다. 

중간재 가격은 10월보다 3.4% 하락했다. 중간재 가운데는 석유 및 석유제품 가격(-16.5%)이 가장 크게 떨어졌다.

자본재와 소비재 가격은 같은 기준으로 각각 0.5%, 0.6% 떨어졌다.

환율 효과를 뺀 계약통화를 기준으로 보면 11월 수출물가는 10월보다 4.3%, 수입물가는 2.1% 하락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