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양천구 목동에서 온수관이 파열돼 1882세대에 17시간 동안 온수와 난방 공급이 끊겼다.
서울시와 서울에너지공사는 11일 오전 9시30분경 목동 아파트단지 안에 묻힌 온수관이 파열돼 인근 1882세대에 17시간 동안 온수와 난방 공급이 중단됐다고 12일 밝혔다.
온수관 파열은 11일 오전 8시50분경 아파트 앞 화단에서 수증기가 올라온다는 주민 신고로 알려졌다.
서울에너지공사는 복구 작업을 벌여 오후 5시30분경 온수 공급을 재개했지만 1차 파열 지점에서 20m 떨어진 곳에서 추가 파열이 발견됐다.
2차 복구작업은 12일 오전 2시에 끝나 오전 3시부터 각 세대에 온수와 난방이 다시 공급되기 시작했다. 인근 주민들은 추운 날씨에 17시간 동안 불편을 겪었다.
서울에너지공사와 양천구청은 피해 세대에 전기장판과 모포, 핫팩 등을 지원했다. 목5동 주민센터 강당과 YMCA 시설에 대피소도 운영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1일 밤 현장을 방문해 “필요하다면 단계별로 완전한 교체까지 검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서울에너지공사는 1985년 시공된 낡은 온수관이 부식되면서 물이 샌 것으로 보고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
서울시와 서울에너지공사는 11일 오전 9시30분경 목동 아파트단지 안에 묻힌 온수관이 파열돼 인근 1882세대에 17시간 동안 온수와 난방 공급이 중단됐다고 12일 밝혔다.
온수관 파열은 11일 오전 8시50분경 아파트 앞 화단에서 수증기가 올라온다는 주민 신고로 알려졌다.
서울에너지공사는 복구 작업을 벌여 오후 5시30분경 온수 공급을 재개했지만 1차 파열 지점에서 20m 떨어진 곳에서 추가 파열이 발견됐다.
2차 복구작업은 12일 오전 2시에 끝나 오전 3시부터 각 세대에 온수와 난방이 다시 공급되기 시작했다. 인근 주민들은 추운 날씨에 17시간 동안 불편을 겪었다.
서울에너지공사와 양천구청은 피해 세대에 전기장판과 모포, 핫팩 등을 지원했다. 목5동 주민센터 강당과 YMCA 시설에 대피소도 운영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1일 밤 현장을 방문해 “필요하다면 단계별로 완전한 교체까지 검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서울에너지공사는 1985년 시공된 낡은 온수관이 부식되면서 물이 샌 것으로 보고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