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 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차이(예대금리차)로 벌어들인 수입이 지난 3년6개월 동안 109조 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김정훈 자유한국당 의원이 금융위원회에서 받은 ‘2015∼2018년 6월 은행별 예대금리차 및 수익 내역’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18개 은행 전체의 평균 예대금리차는 2.08%포인트였다.
2015년 1.97%포인트에서 2016년 1.95%포인트로 소폭 줄었다가 2017년 2.03%포인트로 확대된 데 이어 더 벌어졌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동안 평균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은행은 한국씨티은행으로 3.46%포인트였다.
뒤를 이어 전북은행(2.61%포인트), 부산은행(2.6%포인트), IBK기업은행(2.56%포인트) 순이었다.
예대금리차가 가장 작은 은행은 KDB산업은행(1.39%포인트)이었다.
2015년부터 올해 6월까지 국내 은행이 예대금리차로 벌어들인 수입을 모두 더하면 109조1432억 원이었다.
예대마진 수입은 2015년 29조1631억 원에서 2017년 32조5408억 원으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 예대마진 수입은 17조2672억 원이다.
2015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예대마진 수입이 가장 큰 은행은 IBK기업은행으로 모두 18조7610억 원을 벌어들였다.
KB국민은행(14조3289억 원), NH농협은행(13조5763억 원), 우리은행(12조1195억 원), 신한은행(11조5700억 원)이 뒤를 이었다.
김정훈 의원은 “2분기 말 국내 가계부채가 1493조 원으로 국민은 원리금 상환에 힘들어하는데 은행이 예대금리차로 천문학적 수입을 올리는 것은 금리장사”라며 “금융감독원은 대출금리가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부과되는지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김정훈 자유한국당 의원이 금융위원회에서 받은 ‘2015∼2018년 6월 은행별 예대금리차 및 수익 내역’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18개 은행 전체의 평균 예대금리차는 2.08%포인트였다.

▲ 국내 은행이 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차이(예대금리차)로 벌어들인 수입이 지난 3년 6개월 동안 109조 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연합뉴스>
2015년 1.97%포인트에서 2016년 1.95%포인트로 소폭 줄었다가 2017년 2.03%포인트로 확대된 데 이어 더 벌어졌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동안 평균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은행은 한국씨티은행으로 3.46%포인트였다.
뒤를 이어 전북은행(2.61%포인트), 부산은행(2.6%포인트), IBK기업은행(2.56%포인트) 순이었다.
예대금리차가 가장 작은 은행은 KDB산업은행(1.39%포인트)이었다.
2015년부터 올해 6월까지 국내 은행이 예대금리차로 벌어들인 수입을 모두 더하면 109조1432억 원이었다.
예대마진 수입은 2015년 29조1631억 원에서 2017년 32조5408억 원으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 예대마진 수입은 17조2672억 원이다.
2015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예대마진 수입이 가장 큰 은행은 IBK기업은행으로 모두 18조7610억 원을 벌어들였다.
KB국민은행(14조3289억 원), NH농협은행(13조5763억 원), 우리은행(12조1195억 원), 신한은행(11조5700억 원)이 뒤를 이었다.
김정훈 의원은 “2분기 말 국내 가계부채가 1493조 원으로 국민은 원리금 상환에 힘들어하는데 은행이 예대금리차로 천문학적 수입을 올리는 것은 금리장사”라며 “금융감독원은 대출금리가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부과되는지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