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치솟는 부동산 가격의 원인으로 저금리 기조를 지목하면서 금리 인상을 고민해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김 장관은 2일 국회 열린 경제분야의 대정부 질문에서 부동산 가격의 급등 원인을 질문받자 “저금리가 정권 교체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는 것이 유동성 과잉의 근본적 문제”라며 “(금리와 관련해) 전향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현미 "집값 폭등 원인은 저금리, 전향적 고민 필요해"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김 장관은 “시중에 넘쳐나는 유동성의 정상화는 주택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틀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부동산 가격이 오른 다른 원인으로는 유동성을 제어하지 못한 일부 세제정책과 시장의 불안심리를 들었다. 

김 장관은 9.13 부동산대책(주택시장 안정대책)의 효과를 놓고 “서울 중심의 일부 지역은 (집값이) 급등하는 움직임이 많이 진정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신규 공공택지의 개발 계획에 반발하는 점을 질문받자 김 장관은 “지방자치단체가 (택지 개발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국토부가 보유한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의 해제 물량을 독자적으로 활용하겠다”고 대답했다. 

김 장관은 “공공주택의 공급택지 조성은 지자체와 협의해 확정된 사례로 한정해 발표했다”며 “(이번 대책에 들어간) 택지 개발을 통한 3만5천 호 공급계획은 광역자치단체와 이미 협의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주택의 공급 확대는) 지역 주민과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며 “정상적이고 합법적으로 일을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부동산 공급을 늘리고 수요는 분산해야 한다는 요청을 받자 김 장관은 “부동산시장의 흐름을 보면 공급이 많았다고 해서 부동산 가격이 꼭 떨어졌다고 볼 수 없다”며 “부동산은 공급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만큼 물건을 찍어내듯 수요에 맞춰 공급할 수 없다”고 대답했다.

재건축과 재개발이 늦어지고 있다는 지적을 놓고 김 장관은 “서울에서만 104곳 규모의 재개발과 재건축 착공이 이뤄졌고 재건축 안전진단도 활발했다”며 “재건축의 용적률을 늘리면 초과이익을 임대주택으로 환수하는 등의 장치는 지금도 작동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