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가 정부에 최저임금을 차등 적용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다만 심야영업 중단과 심야가격 할증 등 단체행동은 보류하기로 했다.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는 16일 서울 성북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업종별 지역별 최저임금 차등은 차별이 아닌 차이”라며 “최저임금 결정을 시장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편의점협회 "최저임금 차등적용해야, 단체행동은 일단 보류"

▲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 관계자들이 16일 서울 성북구 전편협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들은 편의점 가맹본부에게 가맹 수수료를 인하할 것을 촉구했다.

또 가맹점주의 생존을 위해 같은 브랜드만 250m 안에 신규 출점을 금지하는 현행 근접출점 금지를 전체 편의점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편의점 카드수수료 문제를 일정 부분 정부가 책임질 것도 요구했다.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는 이런 네 가지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앞으로 편의점에 최저임금 인상 비판 현수막을 내걸고 신용카드 사용을 선별적으로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들은 심야영업 중단과 심야가격 할증 등 단체행동을 일방적으로 진행하지 않겠다고 한 발 물러섰다. 최저임금 인상까지 남은 6개월 동안 정부 및 가맹본부와 적극 협상하겠다는 것이다.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가맹점주도 많다는 현실적 판단이 있었던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에 편의점 CU(씨유)와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등 전국 4천∼5천여 개 편의점 점주들이 가입해 있다.

계상혁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 회장은 “현재 여론에서 가맹점주와 아르바이트와 싸움으로 비춰지고 있다”며 “그러나 우리는 아르바이트 인건비를 줄이자는 것이 아니고 정부와 가맹본부에 마음 놓고 임금을 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을 정부와 본사에게 넘긴 셈"이라며 "6개월 동안 정부 및 본사와 협상을 하겠지만 반응이 없으면 내년부터 생존을 위해서라도 당장 단체행동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