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중형 i40의 연식변경 모델을 내놓았다.
현대차는 1일 내외장 디자인 개선, 현대 스마트 센스 기본 적용, 편의성 강화 등으로 상품성을 높인 2018년형 i40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i40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왜건 모델로도 출시된 차량으로 중형 가족차량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현대차는 외관 디자인 개선을 위해 역동성을 강조한 그물망 모양의 크롬 라디에이터 그릴, 새로운 디자인의 18인치 알로이 휠 등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실내는 슈퍼비전 클러스터, 메쉬 타입의 3D 인서트 필름 가니쉬, 멜롯 색상의 천연가죽 시트, 블랙&그레이 콤비 색상의 최고급 인조가죽 시트 등을 통해 세련미를 높였다고 현대차는 덧붙였다.
모든 트림에 현대 스마트 센스가 적용됐다. 현대 스마트 센스에는 전방 충돌방지 보조, 차로 이탈방지 보조, 하이빔 보조 등의 기능이 포함돼 있다.
또 고객 선호도가 높은 주차 편의사양인 조향 연동 후방카메라도 기본으로 탑재했다.
내비게이션과 폰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포함한 인포테인먼트 패키지의 구성도 한층 좋아졌다.
인포테인먼트 패키지에 포함된 7인치 내비게이션에는 고화질 DMB 사양을 추가하고 미러링크, 애플 카 플레이 등을 통해 모바일 기기와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블루링크 서비스의 기본 제공기간도 기존 2년에서 5년으로 늘렸다.
이와 함께 상위 트림인 프리미엄 트림에는 패키지로 운영했던 선택사양 가운데 고객 선호도가 높았던 다이내믹 드라이빙 시스템(서스펜션/핸들링), 메탈 페달, 패들 쉬프트, 앞좌석 열선 및 통풍 시트와 뒷좌석 열선 시트 등을 기본으로 적용했다.
새 i40는 스마트 트림, 프리미엄 등 2가지 트림으로 운영되며 판매가격은 △왜건 2624만~2858만 원 △살룬(세단) 2549만~2878만 원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최근 가족 단위의 레저활동이 증가하면서 국내 유일의 왜건 모델을 보유 차량인 i40의 높은 활용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기본 상품성을 끌어올린 만큼 i40만의 특화된 장점이 고객들에게 더욱 부각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
현대차는 1일 내외장 디자인 개선, 현대 스마트 센스 기본 적용, 편의성 강화 등으로 상품성을 높인 2018년형 i40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 현대자동차 'i40'.
i40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왜건 모델로도 출시된 차량으로 중형 가족차량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현대차는 외관 디자인 개선을 위해 역동성을 강조한 그물망 모양의 크롬 라디에이터 그릴, 새로운 디자인의 18인치 알로이 휠 등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실내는 슈퍼비전 클러스터, 메쉬 타입의 3D 인서트 필름 가니쉬, 멜롯 색상의 천연가죽 시트, 블랙&그레이 콤비 색상의 최고급 인조가죽 시트 등을 통해 세련미를 높였다고 현대차는 덧붙였다.
모든 트림에 현대 스마트 센스가 적용됐다. 현대 스마트 센스에는 전방 충돌방지 보조, 차로 이탈방지 보조, 하이빔 보조 등의 기능이 포함돼 있다.
또 고객 선호도가 높은 주차 편의사양인 조향 연동 후방카메라도 기본으로 탑재했다.
내비게이션과 폰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포함한 인포테인먼트 패키지의 구성도 한층 좋아졌다.
인포테인먼트 패키지에 포함된 7인치 내비게이션에는 고화질 DMB 사양을 추가하고 미러링크, 애플 카 플레이 등을 통해 모바일 기기와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블루링크 서비스의 기본 제공기간도 기존 2년에서 5년으로 늘렸다.
이와 함께 상위 트림인 프리미엄 트림에는 패키지로 운영했던 선택사양 가운데 고객 선호도가 높았던 다이내믹 드라이빙 시스템(서스펜션/핸들링), 메탈 페달, 패들 쉬프트, 앞좌석 열선 및 통풍 시트와 뒷좌석 열선 시트 등을 기본으로 적용했다.
새 i40는 스마트 트림, 프리미엄 등 2가지 트림으로 운영되며 판매가격은 △왜건 2624만~2858만 원 △살룬(세단) 2549만~2878만 원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최근 가족 단위의 레저활동이 증가하면서 국내 유일의 왜건 모델을 보유 차량인 i40의 높은 활용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기본 상품성을 끌어올린 만큼 i40만의 특화된 장점이 고객들에게 더욱 부각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