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가 적층세라믹콘덴서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의 수혜를 봐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다고 자신했다.

삼성전기는 26일 1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을 열고 "적층세라믹콘덴서 공급 부족 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며 "공장 가동률이 당분간 최대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기 "적층세라믹콘덴서 공급 부족, 공장 최대로 가동"

▲ 이윤태 삼성전기 대표이사 사장.


삼성전기는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188억 원, 영업이익 1540억 원을 봤다. 적층세라믹콘덴서와 스마트폰 부품사업 호조로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29%, 영업이익은 503% 급증했다.

가철순 삼성전기 전무는 "IT기기 고성능화와 전기차 출시 확대로 고품질 적층세라믹콘덴서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며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가 전무는 삼성전기가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적층세라믹콘덴서 공장 증설을 검토하고 있지만 기술적 난도가 높아 단기간에 공급량을 늘리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삼성전기는 스마트폰시장에서 고성능 부품 수요가 늘어나는 데 대응해 3D센서와 SLP기판 등 신기술 개발과 수요 대응에도 주력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3D센서는 애플 아이폰X에 탑재된 기능과 같이 사용자 얼굴과 사물을 인식하는 데 쓰이는 부품이다. SLP기판은 스마트폰의 회로기판 크기를 줄여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신기술이다.

가 전무는 "주요 고객사의 부품 수요에 전략적으로 대응해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며 "연구개발 역량과 품질 경쟁력을 모두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