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기업들이 주식과 회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이 2월보다 11%가량 증가했다.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8년 3월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에 따르면 3월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액은 15조6172억 원으로 2월보다 11.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주식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이 크게 늘어났다.
대기업들이 재무구조 개선 등을 위한 자금 조달 목적으로 대규모 유상증자를 실시하면서 전체 발행액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3월 기업들은 기업공개(IPO)와 유상증자를 통한 주식 발행으로 2조2516억 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2월보다 128% 증가했다.
기업공개를 통해 기업이 조달한 자금규모는 2030억 원가량으로 2월보다 19.6% 늘어났다.
신규 상장 법인은 코스피 1건(애경산업), 코스닥 4건(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 에코마이스터, 케어랩스, 대신밸런스제3호)으로 집계됐다.
유상증자를 통해 기업이 조달한 자금규모는 2조486억 원으로 나타났다. 2월보다 150.5% 증가했다.
유상증자는 8건 발생했다. 코스피 4건(현대중공업, 미래에셋대우, 콤텍시스템, 동원금속), 코스닥 4건(아진산업, 한일진공, 한일단조공업, 에스디시스템) 등이 있었다.
기업들은 회사채 발행을 통해서 13조3656억 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2월보다 2.5% 증가했다.
금융채 발행은 다소 증가했으나 일반 회사채는 주주총회 재무제표 확정 및 사업보고서 제출시기와 맞물리면서 발행이 감소했다.
일반 회사채는 25건, 2조1950억 원 발행됐다. 2월보다 55.1% 감소했다.
회사들이 운영자금과 차환자금 목적의 중기채를 주로 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채는 만기가 1~5년 사이로 발행되는 채권을 말한다.
금융채 발행액은 2조9240억 원 규모로 전달보다 43.1% 증가했다.
은행채와 신용카드사나 증권사들이 발행하는 기타금융채의 발행금액이 증가했으나 금융지주채 발행은 감소했다.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액은 1조4545억 원으로 전월보다 6.6% 증가했다.
2월에는 발행실적이 없던 프라이머리CBO가 3월 1530억 원(2건) 발행됐다. 프라이머리CBO란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의 자금조달을 원활히 하기 위해 신용보증기금 등이 신용을 보강해 발행하는 자산유동화증권이다.
회사채 미상환 잔액은 3월 말 기준으로 450조5571억 원으로 전월 말보다 0.54% 늘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8년 3월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에 따르면 3월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액은 15조6172억 원으로 2월보다 11.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8년 3월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에 따르면 3월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액은 15조6172억 원으로 2월보다 11.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뉴시스>
주식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이 크게 늘어났다.
대기업들이 재무구조 개선 등을 위한 자금 조달 목적으로 대규모 유상증자를 실시하면서 전체 발행액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3월 기업들은 기업공개(IPO)와 유상증자를 통한 주식 발행으로 2조2516억 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2월보다 128% 증가했다.
기업공개를 통해 기업이 조달한 자금규모는 2030억 원가량으로 2월보다 19.6% 늘어났다.
신규 상장 법인은 코스피 1건(애경산업), 코스닥 4건(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 에코마이스터, 케어랩스, 대신밸런스제3호)으로 집계됐다.
유상증자를 통해 기업이 조달한 자금규모는 2조486억 원으로 나타났다. 2월보다 150.5% 증가했다.
유상증자는 8건 발생했다. 코스피 4건(현대중공업, 미래에셋대우, 콤텍시스템, 동원금속), 코스닥 4건(아진산업, 한일진공, 한일단조공업, 에스디시스템) 등이 있었다.
기업들은 회사채 발행을 통해서 13조3656억 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2월보다 2.5% 증가했다.
금융채 발행은 다소 증가했으나 일반 회사채는 주주총회 재무제표 확정 및 사업보고서 제출시기와 맞물리면서 발행이 감소했다.
일반 회사채는 25건, 2조1950억 원 발행됐다. 2월보다 55.1% 감소했다.
회사들이 운영자금과 차환자금 목적의 중기채를 주로 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채는 만기가 1~5년 사이로 발행되는 채권을 말한다.
금융채 발행액은 2조9240억 원 규모로 전달보다 43.1% 증가했다.
은행채와 신용카드사나 증권사들이 발행하는 기타금융채의 발행금액이 증가했으나 금융지주채 발행은 감소했다.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액은 1조4545억 원으로 전월보다 6.6% 증가했다.
2월에는 발행실적이 없던 프라이머리CBO가 3월 1530억 원(2건) 발행됐다. 프라이머리CBO란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의 자금조달을 원활히 하기 위해 신용보증기금 등이 신용을 보강해 발행하는 자산유동화증권이다.
회사채 미상환 잔액은 3월 말 기준으로 450조5571억 원으로 전월 말보다 0.54% 늘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