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상시 감시팀을 만들어 금융회사들의 지배구조와 사외이사 선임 등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했다. 

최 원장은 20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금융회사 지배구조 상시 감시팀을 만들어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리스크 관리, 성과평가와 보상체계 등 운영 실태를 밀착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흥식 "금감원에 금융회사 지배구조 상시감시팀 두고 밀착 점검"

최흥식 금융감독원장.


그러나 금융회사에 검사역이 상주하는 ‘상주검사역’ 제도는 아직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상주검사역 제도는 피감기관에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일단 상시감시역을 운영해보고 제대로 작동이 안 된다고 파악되면 그 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하나금융지주가 회장 선임절차를 강행한 것으로 금융감독당국의 권위가 실추된 것 아니냐는 질문을 놓고는 “그 사람들(하나금융지주)이 (금감원의) 권위를 인정 안하는 것”이라며 “감독당국으로서 우리 역할은 계속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권 채용비리를 적발한 것이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를 겨냥한 것처럼 보인다는 지적을 놓고는 감독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최 원장은 “가서 조사했고 그 과정에서 채용비리가 나왔다”며 “그걸 검찰에 넘긴 게 전부이고 (금감원)검사팀을 믿는다”고 일축했다.

금융회사들이 사외이사를 선임하는 데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사외이사 및 경영진의 선임과 경영 판단에 대한 자율성은 전적으로 보장돼야 할 것”이라며 “다만 자격을 갖춘 금융회사 경영진이 건전한 조직문화 및 내부통제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제2금융권의 채용실태를 점검하겠다는 의지도 강하게 보였다.

최 원장은 “제2금융권은 지배주주가 경영권을 행사하는 사례가 많아 은행보다 민간회사 성격이 크기 때문에 우선 내부고발을 적극 유도할 것”이라며 “채용절차 등의 은행권 모범규준이 마련되는 대로 제2금융권에도 배포하고 회사별 자체점검도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