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가 지난 분기보다 0.9% 상승했다.

민간소비 증가세가 다소 회복됐으나 GDP성장률은 여전히 정부의 목표를 밑돌았다. 특히 무역손실 등을 반영한 실질 국민총소득은 0.3% 상승에 그쳐 2년6개월 만에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4일 3분기 실질 GDP가 2분기보다 0.9%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2% 성장률을 보여 정부가 전망한 올해 경제성장률 3.7% 달성이 어려워졌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세월호 사고 이후인 5월 올해 GDP 성장률을 3.7%로 예상했다. 3분기 성장률 전망치는 3.6%였다. 그러나 3분기 실질 GDP성장률은 3.2%로 이보다 0.4%포인트 낮게 나타났다.

다만 민간소비는 2분기보다 1.0%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민간소비는 1분기 0.2% 증가했다가 2분기에는 세월호 참사의 영향으로 0.3% 감소했다.

무역 손실 등을 반영해 실질적 국민소득을 나타내는 지표인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3분기에 0.3% 증가했다. 2012년 1분기 0.3% 상승 이후 2년2개월 만에 최저다.

GNI성장률이 0.3%에 그친 것은 엔저 등 교역조건이 악화되고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우리 국민이 외국에서 번 소득에서 국내에 있는 외국인이 번 소득을 뺀 것으로 2분기 3조1천억 원에서 3분기 2조5천억 원으로 다소 줄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