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에스이씨, 상아프론테크, 일진머티리얼즈 등 배터리 관련 매출 비중이 높은 부품 및 소재기업이 정부의 전기차 확대정책의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됐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5일 “2017년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2016년보다 50% 이상 급증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가 증가하는 데 더해 에너지저장장치 배터리 수요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신흥에스이씨 상아프론테크 일진머티리얼즈, 전기차 확대정책 수혜

▲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 '넥쏘'를 타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


정부는 최근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하면서 2022년까지 35만 대, 2030년까지 300만 대의 전기차를 보급하는 계획을 밝혔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전기차 보조금 제도를 유지하고 매년 급속충전기를 1500개씩 설치해 2022년까지 1만 개로 늘리기로 했다. 

2017년 기준 국내 전기차 보급 대수는 2만5천 대 정도다. 정부가 2022년까지 목표치인 35만 대를 보급하기 위해서는 연평균 6만5천 대의 전기차를 새로 보급해야 한다.

한 연구원은 “정부가 2020년 목표를 100% 달성하기 어렵겠지만 2022년에는 국내 연간 전기차 판매량이 5만7천대에 이를 것”이라며 “정부의 전기차 육성정책을 감안하면 2017년부터 2025년까지 국내 전기차 판매 성장률 전망치가 기존 23%에서 31%로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전기차 보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존 보조금 제도와 함께 전기차 의무판매 제도를 시행할 가능성도 나왔다. 

한 연구원은 “정부가 2030년까지 전기차 300만 대를 보급하기 위해서 2023년부터 연평균 약 33만 대의 전기차를 판매해야 하는 데 천문학적 예산이 들기 때문에 보조금 제도만으로 보급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전기차 의무판매 제도를 도입하는 일은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필수적”이라고 바라봤다.

신흥에스이씨, 상아프론테크, 일진머티리얼즈 등 배터리 관련 매출 비중이 높은 부품 및 소재기업이 정부의 전기차 확대정책 도입뿐만 아니라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 증가로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됐다.

에너지지정장치에 적용되는 배터리는 전압 등 사양만 약간씩 다를 뿐 전기차에 적용되는 중대형 배터리와 동일하다. 

한 연구원은 “한국은 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하면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5배로 주는 특례를 실시하고 있어 지난해 하반기부터 국내 제조회사 중심으로 에너지저장장치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나 배터리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배터리 관련 매출 비중이 높은 부품과 소재회사가 각광을 받을 시점”이라고 파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