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산업이 해외 부실사업장 정리로 올해 영업이익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오경석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18일 “대림산업은 일부 해외사업 저가수주 여파가 남아있는 경쟁기업들과 달리 해외법인의 사업장 정리로 큰 염려가 없다”며 “건설사업뿐 아니라 석유화학사업의 기초체력도 탄탄해 실적 안정성이 높다”고 파악했다.
대림산업은 사우디아라비아의 플랜트법인 DSA에서 계속 투입원가가 늘어나 과거 수천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하지만 지난해 공사를 대부분 마무리하면서 DSA는 흑자로 전환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DSA의 사다라 이소시네이트 현장과 MFC 현장의 공사진행률은 모두 100%를 보였다.
대림산업 건설부문의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4.4%다. 2015년 3.8%에서 2016년 1.7%로 주저앉은 뒤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림산업 사업의 또 다른 축인 석유화학사업이 호조를 보이는 점도 긍정적이다.
석유화학사업은 지난해 1~3분기에 매출 1조744억 원, 영업이익 1921억 원을 냈다. 영업이익률이 20%에 육박할 만큼 업황이 좋은데 앞으로도 수익성 개선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오 연구원은 “대림산업은 안정적 이익률 개선을 위해 신규수주가 필요하다”며 “2018년 대림산업과 우호적 관계인 이란에서 공사 발주가 시작되면 더욱 좋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대림산업은 지난해 해외에서 새 일감으로 약 1조 원가량을 수주한 것으로 파악된다. 목표치였던 4조 원에 한참 못 미친다.
대림산업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2조379억 원, 영업이익 6385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실적추정치보다 매출은 1.4% 줄어들지만 영업이익은 3.9%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
오경석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18일 “대림산업은 일부 해외사업 저가수주 여파가 남아있는 경쟁기업들과 달리 해외법인의 사업장 정리로 큰 염려가 없다”며 “건설사업뿐 아니라 석유화학사업의 기초체력도 탄탄해 실적 안정성이 높다”고 파악했다.

▲ 이해욱 대림산업 부회장.
대림산업은 사우디아라비아의 플랜트법인 DSA에서 계속 투입원가가 늘어나 과거 수천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하지만 지난해 공사를 대부분 마무리하면서 DSA는 흑자로 전환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DSA의 사다라 이소시네이트 현장과 MFC 현장의 공사진행률은 모두 100%를 보였다.
대림산업 건설부문의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4.4%다. 2015년 3.8%에서 2016년 1.7%로 주저앉은 뒤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림산업 사업의 또 다른 축인 석유화학사업이 호조를 보이는 점도 긍정적이다.
석유화학사업은 지난해 1~3분기에 매출 1조744억 원, 영업이익 1921억 원을 냈다. 영업이익률이 20%에 육박할 만큼 업황이 좋은데 앞으로도 수익성 개선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오 연구원은 “대림산업은 안정적 이익률 개선을 위해 신규수주가 필요하다”며 “2018년 대림산업과 우호적 관계인 이란에서 공사 발주가 시작되면 더욱 좋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대림산업은 지난해 해외에서 새 일감으로 약 1조 원가량을 수주한 것으로 파악된다. 목표치였던 4조 원에 한참 못 미친다.
대림산업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2조379억 원, 영업이익 6385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실적추정치보다 매출은 1.4% 줄어들지만 영업이익은 3.9%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