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모바일 트래픽이 6년 뒤 5G 서비스 성장 등에 힘입어 약 10배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자통신연구원은 17일 ‘국내 모바일 트래픽 현황 및 전망’ 보고서를 통해 “5G 성장으로 향후 6년 동안 국내 이동통신 트래픽은 10배 급증해 2023년 말에 3.2엑사바이트(EB)에 이를 것”이라며 “고품질 무선기술 및 서비스 도입 가속화에 따라 국내 이동통신 트래픽은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바라봤다.
NSA(5G 최초 표준규격) 기반 5G 최초 상용화는 2019년 상반기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동통신 가입자는 4G 서비스를 통한 생활의 변화를 경험해본 적이 있어 5G 서비스의 수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전자통신연구원은 “2023년에 5G 가입자는 2700만 명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제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모든 산업과 생활 전반이 정보통신기술(ICT) 중심으로 재편돼 5G 수요가 증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4G 가입자는 5G 서비스 도입에 영향을 받아 점차 줄어들면서 2023년에 4G 시장점유율은 57%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17년 3분기(78.4%)보다 약 21% 줄어드는 것이다.
5G 트래픽은 고화질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이 늘어나면서 2023년 말에 2.8엑사바이트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4G 트래픽은 5G 사용화 이후에도 완만히 증가하다가 2021년 5G트래픽 성장기부터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측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
전자통신연구원은 17일 ‘국내 모바일 트래픽 현황 및 전망’ 보고서를 통해 “5G 성장으로 향후 6년 동안 국내 이동통신 트래픽은 10배 급증해 2023년 말에 3.2엑사바이트(EB)에 이를 것”이라며 “고품질 무선기술 및 서비스 도입 가속화에 따라 국내 이동통신 트래픽은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바라봤다.

▲ 이동통신 가입자수 전망. <전자통신연구원>
NSA(5G 최초 표준규격) 기반 5G 최초 상용화는 2019년 상반기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동통신 가입자는 4G 서비스를 통한 생활의 변화를 경험해본 적이 있어 5G 서비스의 수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전자통신연구원은 “2023년에 5G 가입자는 2700만 명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제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모든 산업과 생활 전반이 정보통신기술(ICT) 중심으로 재편돼 5G 수요가 증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4G 가입자는 5G 서비스 도입에 영향을 받아 점차 줄어들면서 2023년에 4G 시장점유율은 57%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17년 3분기(78.4%)보다 약 21% 줄어드는 것이다.
5G 트래픽은 고화질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이 늘어나면서 2023년 말에 2.8엑사바이트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4G 트래픽은 5G 사용화 이후에도 완만히 증가하다가 2021년 5G트래픽 성장기부터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측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