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환구 현대중공업 사장이 7월이면 해양부문에서 일감이 바닥을 보일 것이라고 바라봤다.

강 사장은 11일 부산 누리마을 APEC하우스에서 열린 ‘2018년 조선해양업계 신년인사회’에서 참석해 기자들과 만나 “올해 7월까지 해양산업 일감이 있고 그 뒤로는 계획된 일이 없다”며 지금 수주하더라도 1년 가까이는 쉬어야 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강환구 "현대중공업 해양부문 일감 7월이면 바닥나 인력운영 고민"

강환구 현대중공업 사장.


그는 인력 구조조정 계획을 놓고 “(인력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있을 수는 있지만 구조조정을 꼭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다”며 “전체적 방법을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현대중공업 수주목표액으로 102억 달러를 제시했다. 

강 사장은 “조선부문에서 68억 달러, 해양플랜트부문에서 16억 달러를 목표로 하고 나머지는 플랜트와 엔진부문에서 달성할 것”이라며 “올해 첫 수주는 이번주에 계약을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놓고 “그렇게 되면 너무 좋겠지만 울산조선소에서 70~80척을 수주해야 군산조선소까지 가동할 수 있다”며 “물량만 있으면 군산조선소를 재가동하고 싶지만 지난해 기준으로 48척을 수주했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을 비롯해 국내 조선사들은 최근 중국, 싱가포르 등 아시아 조선사의 저가 공세에 밀려 수주에 어려움을 겪었다. 

강 사장은 “중국과 싱가포르 조선사들로부터 도전은 항상 있었고 이는 우리가 해결해야할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강화에 맞춰 새 선박, 새 엔진을 개발하고 있다”며 “신기술 개발, 생산성 향상을 통해 품질 등 그들과 다른 측면에서 차별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달 26일 이사회를 열고 1조2875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기로 결의했다. 

강 사장은 “1조3천억 원 가운데 4500억 원은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나머지 8천억~9천억 원은 은행 돈을 갚으며 경영개선에 쓸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2016년과 2017년 임금협상 및 단체협약 교섭에서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지만 잠정합의안은 노조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부결됐다. 

강 사장은 “노조 조합원이 (회사의) 어려움 이해하고 양보해 승인할 것이라 생각했는데 그러지 못해 너무 안타깝다”며 ‘서로 준비가 되는대로 어떻게든 교섭을 빨리 마무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