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수 다음카카오 의장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소셜 임팩트’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이는 사회 시스템의 변화를 이끌면서 재무적 성과를 통해 자립하는 것을 뜻한다.
![]() |
||
▲ 김범수 다음카카오 의장 |
김범수 다음카카오 의장이 24일 서울 쉐라톤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스타트업 네이션스 서밋’에 참석해 ‘아무도 가보지 않은 길’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이 행사는 세계 최대의 신생기업 축제다. 세계 각국의 신생기업을 이끄는 기관들의 협의체인 ‘스타트업 네이션스’ 회원국들이 2012년부터 개최하고 있다.
김 의장은 연설에서 기업의 새로운 사회적 책임으로 ‘소셜 임팩트’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김 의장은 “사회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율적 조직은 기업”이라며 “혁신적 아이디어를 통해 한 분야 또는 사회 전체의 시스템 변화를 이끌면서 동시에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재무적 성과도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이런 기업을 만들기 위해 ‘100인의 최고경영자(CEO) 양성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2012년 케이큐브벤처스라는 벤처캐피털을 설립하고 현재까지 총 36명의 CEO를 지원하고 있다. 김 의장은 이 프로젝트를 계속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의장은 신생기업들에게 성공의 비결에 대해 조언했다.
김 의장은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행동을 하라”며 “이를 위해서 남들과 다른 방향에서 문제 해결책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런 성공의 예로 한게임과 카카오톡을 들었다.
김 의장은 한게임을 운영할 당시 게임을 유료로 만들지 무료로 할지 고민하고 있었다. 유료게임이 되면 수익을 올릴 수 있지만 무료게임이 사용자를 늘리는 데 유리했다.
김 의장은 “당시 일본에 한게임을 진출시키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항공기 비즈니스석에 타 봤다”며 “이코노미석과 비즈니스석의 차이를 게임에 적용하자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한게임은 부분 유료화 모델을 게임시장에 처음으로 도입해 큰 성공을 거뒀다.
김 의장은 카카오톡을 성공시킨 사례도 소개했다. 김 의장은 카카오톡을 하나의 서비스가 아닌 플랫폼으로 접근했다. 김 의장은 이런 고민을 통해 카카오를 모바일게임 플랫폼으로 거듭나게 만들었다. 이런 이유로 다음과 인수합병도 했다.
김 의장은 “서비스 관점에서 보면 무엇을 만들어서 어떻게 팔까라는 질문을 던진다”면서 “그러나 플랫폼의 경우 누구를 참여시키고 이들을 어떻게 연결할까가 주된 문제”라고 강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오대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