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청년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별대책을 지시했다. 내년 초 관련 대책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18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열고 “20대 후반 인구는 2021년까지 39만 명이 증가했다가 2022년 이후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지금부터 2021년까지 청년고용에 관한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재인 "청년고용 특별대책 필요, 체감할 수 있는 성과 내놓아야"

문재인 대통령.


문 대통령은 “청년고용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해 내년 1월 중으로 청년고용상황과 대책을 점검하는 청년고용점검회의를 준비해 달라”고 지시했다.

그는 “청년고용대책에 특별히 관심을 기울이면서 19조2천억 원 규모의 일자리사업예산을 연초에 빠르게 집행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나오도록 해달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영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일자리가 줄어들지 않도록 3조 원 규모의 일자리 안정자금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중국방문과 관련해 “내실있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방문으로 한중 양국이 외부요인에 흔들리지 않는 견고하고 성숙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게 됐다”면서 “우리 외교의 시급한 숙제를 연내에 마쳤다는데 큰 의미를 두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외교관계는 양국 간 신뢰 구축이 중요하다”며 “정부가 노력해야 하는 것이지만 여야 정치권, 언론 그리고 국민들이 마음을 함께 모아야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최근 중국방문과 관련해 홀대론이 일고 있는 점을 염두에 둔 말로 해석된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