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하이마트가 신규 가전제품 판매 증가와 온라인매출 증가 덕에 실적호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주영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12일 “롯데하이마트는 신규가전제품 판매와 설치가전 교체수요의 증가 덕에 내년 영업이익이 안정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롯데하이마트는 신규 가전제품에서 견조한 매출을 내고 있다. 미세먼지와 관련한 환경변화에 따라 빨래건조기와 공기청정기 등의 판매가 늘었다.
청소기 판매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 수준까지 늘어나 이전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다이슨과 LG전자, 삼성전자 등 주요 가전기업이 고급 무선청소기를 내놓으면서 평균 판매단가가 80만~90만 원 수준으로 오른 영향을 받았다.
온라인판매도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
매장에서 온라인제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옴니세일즈’를 포함해 온라인 매출비중은 전체 매출의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옴니세일즈를 제외해도 온라인 매출비중이 7~8%에 이르러 유통기업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롯데하이마트는 4분기에 별도기준으로 매출 1조398억 원, 영업이익 407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6.1%, 영업이익은 3.6% 늘어나는 것이다. 지난해 4분기에 부가세환급 103억 원이 발생했던 것을 제외하면 영업이익이 40.4% 증가한다.
내년에 매출 4조3703억 원, 영업이익 2418억 원을 낼 것으로 추산됐다. 올해 실적추정치보다 매출은 4.5%, 영업이익은 5.5%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
주영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12일 “롯데하이마트는 신규가전제품 판매와 설치가전 교체수요의 증가 덕에 내년 영업이익이 안정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이동우 롯데하이마트 대표.
롯데하이마트는 신규 가전제품에서 견조한 매출을 내고 있다. 미세먼지와 관련한 환경변화에 따라 빨래건조기와 공기청정기 등의 판매가 늘었다.
청소기 판매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 수준까지 늘어나 이전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다이슨과 LG전자, 삼성전자 등 주요 가전기업이 고급 무선청소기를 내놓으면서 평균 판매단가가 80만~90만 원 수준으로 오른 영향을 받았다.
온라인판매도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
매장에서 온라인제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옴니세일즈’를 포함해 온라인 매출비중은 전체 매출의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옴니세일즈를 제외해도 온라인 매출비중이 7~8%에 이르러 유통기업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롯데하이마트는 4분기에 별도기준으로 매출 1조398억 원, 영업이익 407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6.1%, 영업이익은 3.6% 늘어나는 것이다. 지난해 4분기에 부가세환급 103억 원이 발생했던 것을 제외하면 영업이익이 40.4% 증가한다.
내년에 매출 4조3703억 원, 영업이익 2418억 원을 낼 것으로 추산됐다. 올해 실적추정치보다 매출은 4.5%, 영업이익은 5.5%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