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직장인들이 일주일에 평균 2.5일 야근을 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8월 21∼30일 직장인 1013명을 상대로 웹·모바일을 통해 야근실태를 조사했는데 직장인들이 일주일 평균 2.5일 야근을 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고 1일 밝혔다.
주5일 근무제가 일반화된 환경에서 일주일의 반을 야근하는 셈이다.
'야근을 자주 하느냐'는 질문에 '자주 한다'는 응답이 46.3%였고, '가끔 한다'는 답도 39.2%였다. '거의 안 한다'는 응답은 14.5%로 가장 낮았다.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야근 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주 한다'는 답이 대기업 직장인에서 54.5%로 가장 많았다.
중견기업은 51.6%, 중소기업은 44.5%가 야근을 자주 한다고 답했다. 반면 야근을 거의 안 한다는 응답은 외국계 기업(20.8%)과 공기업(20.5%)에서 높았다.
그러나 야근시간은 기업의 규모와는 상관성이 없었다. 대기업이 2시간 40분, 중견기업이 2시간 36분, 중소기업이 2시간24분으로 나왔고 평균 야근시간은 2시간 30분 정도로 조사됐다.
직급별로는 부장급(55.3%) 직장인들이 가장 야근을 자주 했다. 이어 과장·차장급(50.6%), 주임·대리급(47.0%), 사원급(42.2%) 순으로 조사됐다.
야근이 가장 잦은 직무는 연구개발직으로 58.3%가 야근을 자주 한다고 대답했다. 이어 디자인직(53.2%), 기획직(52.5%), IT(정보기술)·시스템운영직(51.6%) 순이었다.
반대로 판매서비스와 고객상담·TM(텔레마케팅)은 야근을 '거의 안 한다'는 대답이 각각 38.1%와 30.0%로 가장 많았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부분은 직장인의 69.9%는 '회사 생활에서 야근이 당연한가'라는 질문에 '당연하지 않다'고 대답했다는 점이다. 특히 '스스로 결정해서 야근하느냐'는 물음에도 63.9%가 '어쩔 수 없이 야근한다'고 응답했다.
직장인들은 야근을 하는 이유로 '업무 특성상 야근이 불가피해서'(43.9%·복수응답), '일이 많아 근무시간 내에 끝낼 수 없어서'(38.6%), '갑자기 발생하는 예측 불허 업무들 때문에'(26.2%), '야근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상사·기업 문화 때문에'(25.8%), '퇴근 시간 직전에 업무를 주는 상사 때문에'(10.6%) 등을 대답했다.
직장인들의 평균 야근시간은 2시간30분이었다. 하지만 야근을 비롯한 초과수당을 받는다는 직장인은 37.7%에 그쳤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윤경 기자]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8월 21∼30일 직장인 1013명을 상대로 웹·모바일을 통해 야근실태를 조사했는데 직장인들이 일주일 평균 2.5일 야근을 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고 1일 밝혔다.

▲ 대한민국 직장인들이 일주일에 평균 2.5일 야근을 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잡코리아>
주5일 근무제가 일반화된 환경에서 일주일의 반을 야근하는 셈이다.
'야근을 자주 하느냐'는 질문에 '자주 한다'는 응답이 46.3%였고, '가끔 한다'는 답도 39.2%였다. '거의 안 한다'는 응답은 14.5%로 가장 낮았다.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야근 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주 한다'는 답이 대기업 직장인에서 54.5%로 가장 많았다.
중견기업은 51.6%, 중소기업은 44.5%가 야근을 자주 한다고 답했다. 반면 야근을 거의 안 한다는 응답은 외국계 기업(20.8%)과 공기업(20.5%)에서 높았다.
그러나 야근시간은 기업의 규모와는 상관성이 없었다. 대기업이 2시간 40분, 중견기업이 2시간 36분, 중소기업이 2시간24분으로 나왔고 평균 야근시간은 2시간 30분 정도로 조사됐다.
직급별로는 부장급(55.3%) 직장인들이 가장 야근을 자주 했다. 이어 과장·차장급(50.6%), 주임·대리급(47.0%), 사원급(42.2%) 순으로 조사됐다.
야근이 가장 잦은 직무는 연구개발직으로 58.3%가 야근을 자주 한다고 대답했다. 이어 디자인직(53.2%), 기획직(52.5%), IT(정보기술)·시스템운영직(51.6%) 순이었다.
반대로 판매서비스와 고객상담·TM(텔레마케팅)은 야근을 '거의 안 한다'는 대답이 각각 38.1%와 30.0%로 가장 많았다.

▲ 직장인들 야근하는 모습.
직장인들은 야근을 하는 이유로 '업무 특성상 야근이 불가피해서'(43.9%·복수응답), '일이 많아 근무시간 내에 끝낼 수 없어서'(38.6%), '갑자기 발생하는 예측 불허 업무들 때문에'(26.2%), '야근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상사·기업 문화 때문에'(25.8%), '퇴근 시간 직전에 업무를 주는 상사 때문에'(10.6%) 등을 대답했다.
직장인들의 평균 야근시간은 2시간30분이었다. 하지만 야근을 비롯한 초과수당을 받는다는 직장인은 37.7%에 그쳤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