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등 주요 은행들이 개인형퇴직연금(IRP) 가입대상자 확대에 맞춰 수수료율을 낮추는 등 고객유치전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신한은행은 개인형퇴직연금 가입 대상자 확대를 기념해 서울 중구 본점 영업부에서 이성기 고용노동부 차관과 위성호 신한은행장이 참석한 가운데 자영업자 개인형퇴직연금 1호 가입 기념행사를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 |
||
▲ 이성기 고용노동부 차관(오른쪽)과 위성호 신한은행장(왼쪽)이 26일 서울 중구 신한은행 본점에서 열린 개인형퇴직연금 대상자 확대 기념행사에서 자영업자 1호 가입자 장보균씨(가운데)와 함께 기념촬영 하고 있다. |
그런데 근로자퇴직급여보장 시행령이 개정돼 26일부터 가입대상이 자영업자와 공무원, 교직원 등으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730만 명이 새롭게 개인형퇴직연금에 가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은행은 개인형퇴직연금 가입대상자 확대에 맞춰 가입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수수료율을 낮췄다.
가입자 스스로 적립하는 자기부담금과 관련된 수수료를 0.4%에서 0.29%로, 퇴직금 1억 원 이상 입금 수수료는 0.46%에서 0.38%로 각각 인하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개인형퇴직연금이 모든 근로자들의 은퇴 후 삶을 지켜주는 대표적 수단으로 거듭나고 노후 대비 안전판 역할을 담당하는 대표적 금융상품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 등도 개인형퇴직연금 대상자 확대에 맞춰 수수료율을 낮췄다.
KB국민은행은 수수료율을 0.4%에서 0.24%~0.29%로 인하했고 우리은행도 자기부담금 수수료를 0.4%에서 0.3%로 내렸다.
은행들이 수수료율을 낮춘 것은 개인형퇴직연금 가입을 계기로 고객들을 주거래고객으로 만들고 다른 영업활동을 펼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은행들의 개인형퇴직연금 운용수익률이 저조한 만큼 고객들의 관심을 얻기 어려울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NH농협은행 등 주요 은행 5곳의 2분기 개인형퇴직연금 수익률은 평균 1.50%로 나타났다.
정기예금금리와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고 증권사들이 3% 이상의 수익률을 거둔 것과 비교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퇴직연금의 특성상 장기적인 수익률이 영업의 핵심 경쟁력이 될 수밖에 없는 만큼 은행들은 자산운용 역량을 강화하는 데 더욱 힘쓸 것”이라며 “증권사와 보험사 등도 개인형퇴직연금 영업을 확대하고 있어 업권을 넘는 고객유치 경쟁이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